KT, '5G' 커버리지 넓히고 속도 향상시키는 신기술 개발

입력 2019-12-04 09: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T 네트워크부문 직원들이 일산 테스트베드에서 5G 다중입출력(MIMO) 기반의 가변형 안테나 배열 기술을 검증하고 있다.  (사진제공=KT)
▲KT 네트워크부문 직원들이 일산 테스트베드에서 5G 다중입출력(MIMO) 기반의 가변형 안테나 배열 기술을 검증하고 있다. (사진제공=KT)

KT가 5G 기지국에 적용해 커버리지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별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KT가 이번에 개발한 '5G 다중입출력(MIMO) 기반의 가변형 안테나 배열' 기술은 업링크 커버리지를 20% 이상 확대할 수 있는 기술이다. 5G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대규모 다중입출력에서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해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속도를 높인다. 우선 다운링크에서는 가입자 별로 전파를 쏘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 휴대폰의 수신 감도와 속도를 높인다.

반면 업링크에서는 각각의 기지국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를 결합해 수신감도와 속도를 높이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하나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업링크 커버리지 확보가 어렵다.

KT에서 개발한 기술은 이런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 고정된 방식의 안테나 배열을 가변적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안테나 배열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각각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를 무선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합해 원래의 신호로 복구함으로써, 결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최대화 한 것이다. 이 기술을 기지국에 적용하면 업링크 커버리지를 20% 이상 개선할 수 있으며, 업로드 속도도 증가한다.

KT는 지난 4월 해당 기술 관련 특허를 출원 완료하고 5G 시험망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5G 커버리지 개선 효과에 대한 검증을 마쳤다. 현재 KT 5G 상용망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사와 협의 추진 중이며,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상용장비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5G 커버리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KT는 지난달 말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27차 텔레커뮤니케이션 포럼에 참여해 5G 업링크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기술로 해당 기술 내용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세계적인 전기전자학회인 IEEE가 주최하는 IEEE 텔레커뮤니케이션 포럼엔 산업계·학계의 주요 인사와 기업이 참석해 5G 등 미래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을 발표하고 산업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27차 포럼에는 KT를 비롯해 에릭슨, 노키아, 시스코 등에서 참석해 기술 발표를 진행했다.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이수길 상무는 “이번에 KT가 개발한 5G 업링크 커버리지 개선 기술은 고품질의 5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끝없는 노력의 결과”라며 “앞으로도 고객만족을 이루기 위한 차별화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5G 기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T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703,000
    • +0.36%
    • 이더리움
    • 5,293,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707,000
    • +3.51%
    • 리플
    • 727
    • +0.28%
    • 솔라나
    • 238,900
    • +0.08%
    • 에이다
    • 640
    • +0.63%
    • 이오스
    • 1,097
    • -0.09%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400
    • +2.11%
    • 체인링크
    • 24,350
    • +0.87%
    • 샌드박스
    • 650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