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람의 가상화폐 스토리텔링] 블록체인 ‘절대자의 손’ 언제 필요할까

입력 2019-05-2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19-05-21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이야기에서 갑자기 등장해 어떤 문제나 갈등을 해결하는 존재를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라고 하죠. ‘기계장치로부터 온 신’이란 말로 극 뒤에서 장치에 매달려 나타난 신적 존재를 나타냅니다. 그동안 전개해 온 개연성과 무관한 절대자가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뜻하죠.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도 개발자나 운영 재단이 필요에 의해 플랫폼에 개입할 때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개발자들과 투자자, 커뮤니티 참여자 등 많은 이의 의견이 엇갈립니다. ‘이런 절대자가 꼭 필요하냐’부터 ‘필요하다면 언제가 적당하냐’ 등이죠.

◇이더리움 하드포크 사건 = 이야기에서 생뚱맞은 절대자가 나타나 모든 사건을 해결한다면, 이야기를 보던 사람들은 황당할텐데요. 이야기꾼이 적절하게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을 생각할 수 없는 무능력하다고 비판이 나올 법도 하죠.

블록체인에서도 다르지 않습니다. 플랫폼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집니다.

대표적인 사건이 2016년 6월 17일 ‘다오(DAO)’ 해킹이었죠. 다오는 스마트콘트랙트(자동이행계약)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 펀드였는데요. 설계상 버그를 악용해 약 360만 개의 이더리움이 도난당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시세로 640억 원으로, 현재 시세로는 1조 원(21일 오전 9시 기준)이 넘는 액수죠. 해킹이 발생하자,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심각한 결함이 발견됐다는 우려감에 시세가 폭락했어요. 시세 하락뿐 아니라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쓸 수 없다는 사람들도 많았었는데요.

이더리움 재단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도난 수량을 동결시키는 소프트포크(Softfork)와 해킹 이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되돌리는 하드포크(Hardfork)를 고민했어요.

논의 결과 하드포크가 결정됐고, 지금의 이더리움이 탄생했습니다. 반면 재단의 임의 개입은 안 된다는 개발자들이 기존 네트워크를 이어가면서 이더리움클래식(ETC)이 됐죠.

◇결함 원인 제공자 판별이 관건 = 이오스(EOS)에선 사기 사이트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한 조치가 이뤄지는 일이 있었죠.

이오스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메인넷으로 이전하던 때였는데요. 사기꾼들이 이전 방법을 찾는 투자자들에게 가짜 방법을 설명하는 식으로 이오스를 탈취하는 사건이 발생했어요.

이런 일이 알려지면서 이오스 운영진은 구제 방법을 논의했습니다.

이오스는 보유자들 간의 분쟁을 해결할 목적으로 EOSIO 핵심중재포럼(ECAF)을 운영하는데요. 중재포럼에선 도난당한 토큰이 거래되기 전에 계정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도 있었죠. 블록체인 플랫폼이 사용자들의 실수나 잘못에 의한 해킹까지 책임져야 하는 지에 대한 것이었는데요.

당시 투자자 커뮤니티에선 개인의 실수까지 플랫폼이 책임져야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피해자를 구제한다는 것은 선한 뜻이라 해도, 나중에 21개의 이오스 네트워크 의사결정권자가 마음대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죠.

이후 여러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갖가지 애플리케이션 해킹 사건과 사고가 일어났는데요.

대부분의 재단은 공통된 규칙을 정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이고 있어요.

블록체인 플랫폼(프로토콜)의 결함일 경우 개입하는 게 원칙이고, 개별 댑(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결함에 따른 해킹은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누구의 책임이냐’가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요. 운영재단의 잘못으로 발생한 사건에 대해서만 구제를 한다는 게 핵심입니다.

◇바이낸스 도난 물량 시장 유입 = 글로벌 대형 거래소 바이낸스는 5월 8일 보유 비트코인 7000비트코인을 해커에게 도난당했는데요. 커뮤니티 일부에서 도난당한 비트코인을 채굴자들 과반의 동의하에 되찾는 방법이 제기됐었죠.

하지만 실현은 되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의 결함이 아닌 바이낸스의 결함으로 일어난 사고에 대해 커뮤니티가 책임져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기 때문이죠.

섣불리 네트워크 수정을 했다가 걷잡을 수 없는 사태로 이어질 수 있기도 했고요.

한 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면 개별적인 참여자들의 관리 실수에 대해 구제하지 않는 것이 건강한 플랫폼을 만드는 길”이라며 “재단이나 개발자 등 플랫폼 운영진이 모든 걸 해결해줄 수 없다”고 조언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범죄도시4’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범죄도시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직장 상사·후배와의 점심, 누가 계산 해야 할까? [그래픽뉴스]
  • 동네 빵집의 기적?…"성심당은 사랑입니다" [이슈크래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임영웅 콘서트 VIP 연석 잡은 썰 푼다” 효녀 박보영의 생생 후기
  • 꽁냥이 챌린지 열풍…“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67,000
    • +4.12%
    • 이더리움
    • 4,533,000
    • +2.93%
    • 비트코인 캐시
    • 706,000
    • +0.07%
    • 리플
    • 731
    • +1.25%
    • 솔라나
    • 209,800
    • +8.54%
    • 에이다
    • 674
    • +3.06%
    • 이오스
    • 1,137
    • +6.06%
    • 트론
    • 160
    • -0.62%
    • 스텔라루멘
    • 164
    • +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450
    • +1.56%
    • 체인링크
    • 20,150
    • +4.3%
    • 샌드박스
    • 650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