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8K 시대에는 올레드...QLED 개발 많은 시간 투자해야”

입력 2019-02-2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인병 LG디스플레이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이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에서 올레드(OLED)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
▲강인병 LG디스플레이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이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에서 올레드(OLED)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

LG디스플레이가 향후 8K TV 시장에서 올레드(OLED)가 대세로 자리 잡는다고 전망했다.

다만 스스로 빛을 내는 퀀텀닷 소자로 원하는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라고 학계에서 정의하는 Q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 개발은 아직 초기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강인병 LG디스플레이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은 27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에서 “8K 시대에는 3300만 개 화소로 화질을 제어할 수 있는 올레드가 굉장히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8K(7680×4320)는 FHD(1920×1080) 보다 16배, UHD(3840×2160) 보다 4배 더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강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화질이 좋아지면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 크기가 작아진다. 이 상태에서 시야각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며 “올레드가 문제를 해결한다. 기존의 LCD(액정표시장치) 시야각이 92도라면 올레드는 120도 정도이다”라고 덧붙였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올레드가 기존의 LCD(액정표시장치)와는 플랫폼 자체가 다른 디스플레이라는 것을 설명했다.

올레드는 LCD(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백라이트 없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강 부사장은 “올레드는 롤러블, 폴더블 등과 같은 자유로운 디자인은 물론 투명, 미러로의 확장성이 용이한 차원이 다른 디스플레이다”라며 “당사는 현재 투명 올레드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도 확보했지만,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아 어떤 방향으로 투자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레드의 강점 때문에 올레드 TV 시장 또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 부사장은 강조했다.

강 부사장은 “평판 디스플레이의 본고장인 일본의 2500달러(약 280만 원) 이상 하이엔드 TV 시장에서 올레드 TV가 2018년 기준 82%를 점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2018년 올레드 TV 판매금액은 65억3000만 달러(약 7조 원)를 차지했으며 작년 연간 성장률은 58%를 기록했다.

올레드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했지만 QLED를 개발하는데는 오랜시간이 소요된다고 LG디스플레이는 설명했다.

강 부사장은 “경쟁사에서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퀀텀닷 올레드는 블루 올레드에 퀀텀닷 필터를 적용한 ‘올레드’라고 당사에선 보고 있다”며 “현재 QLED 기술과 관련된 재료를 확보하고 개발하기까지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거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74,000
    • +1.35%
    • 이더리움
    • 5,298,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39%
    • 리플
    • 723
    • +0%
    • 솔라나
    • 229,100
    • -0.91%
    • 에이다
    • 632
    • +0.16%
    • 이오스
    • 1,136
    • +0.44%
    • 트론
    • 158
    • -1.25%
    • 스텔라루멘
    • 149
    • +1.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0.71%
    • 체인링크
    • 24,940
    • -2.84%
    • 샌드박스
    • 643
    • +3.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