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귀향' 옛말…"성인남녀 절반 이상 올 설날 '귀향' 안 할 것"

입력 2019-01-28 08: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인크루트)
(사진제공=인크루트)

민족의 명절 설이 다가왔지만 구직자와 직장인 절반 이상은 귀향하지 않을 전망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아르바이트 O2O 플랫폼 알바콜과 ‘2019 구정계획’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 한 결과다.

28일 설문 결과에 따르면 먼저 이번 설 귀향계획을 물은 결과 45%는 귀향 의사가 있었고, 나머지 55%는 귀향 의사가 없었다. 직장인의 52%, 구직자는 그보다 높은 58%가 귀향하지 않을 계획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50%)보다 50대(65%)ㆍ60대(61%)의 귀향 의사가 적었다.

지난 2018년 추석에 진행했던 설문조사에서는 귀향계획이 47%로 집계된 바 있다. 올 구정 역시 비슷한 추이로, 명절에 귀향하지 않는 이유는 다양했다.

가장 많이 꼽힌 항목은 ’우리 집으로 모임’으로, 총 31%의 득표를 받았다. 친지는 만나되 본인이 거주하는 곳에서 모이기 때문에 굳이 귀향하지 않겠다는 것. 이어서 △’만나러 갈 친지가 없음(돌아가신 경우 포함)’(19%) △’가족 잔소리, 스트레스가 예상돼서’(12%) 등의 이유가 상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여행 등 다른 계획을 세워서’, ‘고향에서 지내는 중’(각 9%로 동률) △’(귀향하면) 지출 비용이 클 것으로 보여서’(7%) △’귀성길 정체로 미리 다녀옴’(5%) 등의 사유가 귀향을 가로막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권은 아니었지만 ‘안 친해서’, ‘출근’, ‘쉬고 싶어서’ 등의 기타 답변도 확인됐다.

연령대별, 상태별 미귀향 사유는 달랐다. 앞서 1위에 득표한 ‘우리 집으로 모임’을 선택한 응답결과부터 흥미롭다. 해당 보기 응답자 중 20대(24%)와 30대(29%)의 응답률에 비해 40대(32%), 50대(36%), 그리고 60대 이상(39%)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응답 비율도 높아지는 점이 파악됐기 때문.

전체 2위에 오른 ‘만나러 갈 친지가 없어서(돌아가신 경우 포함)’ 역시 30대(12%), 40대(13%) 대비 50대(25%), 60대 이상(35%)의 응답률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지출 비용이 부담되어 미귀향을 선택한 비율은 30대(18%)에게서, 가족 잔소리와 스트레스가 예상돼서 역시 귀향을 하지 않겠다는 비율은 20대 이하(19%)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번 설문은 2019년 1월 21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진행되었고, 인크루트와 알바콜 회원 총 653명이 참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53,000
    • +1.75%
    • 이더리움
    • 5,227,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39%
    • 리플
    • 726
    • -0.41%
    • 솔라나
    • 234,200
    • -0.76%
    • 에이다
    • 628
    • -0.32%
    • 이오스
    • 1,130
    • +0%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0.52%
    • 체인링크
    • 25,070
    • -2.87%
    • 샌드박스
    • 620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