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ELS·DLS 발행 65조원…역대 최대

입력 2018-09-27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상반기 주가연계증권(ELS)과 기타 파생결합증권(DLS) 등의 발행액이 총 65조 원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가지수 하락으로 ELS와 DLS 투자자의 수익률은 전년 대비 악화됐지만 증권사의 발행·운용 이익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ELS 발행액은 48조1000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35조6000억 원) 대비 12조5000억 원(35.1%) 증가했다. 공모발행 비중이 81.9%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원금 비보장형 발행 비중은 91.3%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5.1%포인트 늘었다.

금감원은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ELS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했다. 주가 하락 기간에 ELS에 투자하면 원금손실(Knock-in) 구간에 도달할 확률이 감소하고 제시 쿠폰 금리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ELS 발행 형태에서는 지수형 ELS 발행 비중이 94.1%로 압도적이었다. 2개 이상 기초자산을 결합한 상품이 91.8%를 차지했다. 제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기초자산이 3개 이상인 ELS 발행도 지난해 상반기 72.4%에서 86.4%로 증가하는 추세다.

기초 자산별로는 유로스톡스50과 H지수를 기초로 한 ELS가 각각 37조8000억 원, 34조2000억 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이어 S&P500(23조4000억 원), 코스피200(17조6000억 원) 순이었다.

반면 HSI 기초 ELS 발행 규모는 급감했다. 지난해 H지수를 기초로 하는 ELS 발행감축 자율규제가 종료되면서 변동성이 큰 H지수가 HSI를 대체한 것으로 풀이된다.

ELS 판매 경로는 은행 신탁이 60.2%를 차지하고 있고 일반공모 20.5%, 자산운용 9.8% 순이다. 은행 신탁의 경우 주로 주가연계신탁(ELT)으로 편입돼 판매된다.

상반기 중 ELS 상환액은 38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했다. 국내외 주요 지수가 하락하는 국면이어서 ELS 일부가 조기상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만기 전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가 많아 조기상환액 비중이 79.6%로 만기상환액 규모(20.5%)를 웃돌았다.

상반기 DLS는 16조8000억 원 규모로 발행돼 전년 동기 대비 7000억 원(4.3%) 증가했다. 사모와 원금보장형 발행 비중은 각각 80.3%, 43.1%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초 자산별로는 CD금리 등 금리 기초 DLS 비중이 37.5%로 가장 높고 이어 신용(28%), 환율(4.1%), 원자재(1.7%) 순이었다.

DLS 상환액은 1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00억 원(6.9%) 증가했다. 만기상환액 비중이 63.6%로 조기상환액(36.4%)을 상회했다. DLS는 기초자산 변동성이 낮은 편이고 대부분 사모로 발행돼 만기 전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가 적어 통상적으로 만기상환액이 조기상환액보다 크다.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에 대한 자체 헤지와 백투백 헤지 비중은 각각 51%, 49%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ELS와 DLS 자체 헤지 비중은 지난해 6월 말 대비 각각 5.4%포인트, 1.8%포인트로 소폭 증가했다.

상반기 중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수익은 1조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했다. ELS 조기상환이 지연되면서 상환 규모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ELS와 DLS 투자자의 수익률은 3.4%, 0.8%로 전년 동기 대비 악화됐으나 증권사의 발행·운용 이익은 559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두 배 증가했다. 발행자금(부채) 평가액이 감소하고 헤지 자산의 채권운용 이익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감원은 오는 10월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관리 적정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점검에 나선다. 헤지자산과 고유자산 구분관리와 투자대상 자산요건 준수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살필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신탁에서 판매되는 ELS 대부분이 원금비보장형 상품으로 투자 시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ELS 발행과 판매현황에 대해 상시모니터링을 지속하고 기초자산과 상품구조 다변화를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한화-KT전 '끝내기 벤치클리어링', 도대체 무슨 일?…4년 전 악연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43,000
    • +0.3%
    • 이더리움
    • 5,342,000
    • +0.98%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4.08%
    • 리플
    • 727
    • +0%
    • 솔라나
    • 240,400
    • +0.8%
    • 에이다
    • 638
    • -0.62%
    • 이오스
    • 1,114
    • -0.8%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200
    • +0.63%
    • 체인링크
    • 24,500
    • -0.81%
    • 샌드박스
    • 650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