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HR 선두기업 워크데이, 국내 진출

입력 2018-08-28 13: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사 및 재무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기업용 소프트웨어 선두기업인 워크데이가 국내 시장에 진출했다.

워크데이는 28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즈 호텔에서 국내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진출 전략과 사업목표를 발표했다. 특히 이날 워크데이는 국내 진출을 기념해 인사 전문가 패널토론회를 진행했다.

​이 토론회에는 데이비드 호프<사진> 워크데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장을 비롯해 이베이 인사총괄 김이경 전무, AIA생명 이강란 전무, 한양대학교 유규창 교수, KPMG 박상원 본부장 그리고 EMA 파트너스 코리아 박상욱 사장(좌장) 등 6명의 인사 전문가가 초대돼 현재 국내의 HR 트렌드, 이슈 및 해결책 등을 나누는 자리를 가졌다.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주 52시간 근무제 등의 근로 시간 단축, 최저임금인상, 비정규직의 정규화 정책 등 정부 정책이 토론회에서 다뤄졌다. 또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 복지와 직무 전문성의 균형 확보, 베이비부머 세대부터 밀레니얼 세대에 이르는 다양한 세대의 통합적 관리 등 직장인 관점의 HR 이슈와 기업적 관점의 HR이슈가 동시에 논의됐다.

이와 함께 빠른 의사결정, 인재의 전략적 배치, 그리고 에자일(agile) 조직과 디지털 변환 방법 등 다양한 방법론이 이번 토론회에서 다뤄졌다.

​​데이비드 호프 워크데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장은 “각 세대 구성원들은 다양한 가치와 우선과제가 있으며, 인사담당자들은 직장 내 성장, 안정성, 다양한 기회 등 무엇이 중요한지를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워크데이는 인사 임원들이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해 이러한 난제를 다루고, 기업의 임원들이 최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패널토론에 참석한 유규창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정부정책의 변화 뿐만 아니라, 직장 내 다양한 세대의 요구를 충족함과 동시에 생산성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현재 HR 업무의 가장 큰 핵심"이라며 "직무중심의 HR이 필수적이며, IT시스템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워크데이코리아는 오는 9월 11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고객 대상 국내 공식 비즈니스 론칭 행사를 개최한다. 국내 기업 인사 담당자, 디지털 혁신 업무 담당자 및 인사를 포함한 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1: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87,000
    • +1.05%
    • 이더리움
    • 5,227,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46%
    • 리플
    • 724
    • -0.82%
    • 솔라나
    • 231,800
    • -1.95%
    • 에이다
    • 625
    • -0.95%
    • 이오스
    • 1,126
    • -0.35%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0.12%
    • 체인링크
    • 25,020
    • -5.01%
    • 샌드박스
    • 607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