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 “제3국 원전 진출·원자력 해체 분야 협력 강화”

입력 2018-08-17 16: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원자력 고위급위원회 2차 전체회의 워싱턴서 개최

▲고리원전 4호기(연합뉴스)
▲고리원전 4호기(연합뉴스)

한미 양국이 제3국 원전 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원자력 안전‧해체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데 합의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양국 정부는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원자력 고위급위원회'를 열고 원자력 분야의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우리 측에선 조현 외교부 제2차관을 수석대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및 관련기관 관계자가, 미국 측에선 댄 브룰렛(Dan Brouillette) 미 에너지부 부장관을 수석대표로 국무부, 원자력규제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양측은 회의에서 한미 간 협력이 양국 기업의 제3국 원전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국제 비확산,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이를 위해 양국 정부는 '고위급위원회' 산하 원전수출 실무그룹 차원의 후속논의를 통해 제3국 원전 수출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양국의 원자력 정책 틀 내에서 △원자력 안전‧해체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원자력 전문가 인적 교류 확대 가능성도 모색하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날 양국은 또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운반, 저장, 처분하기 위해 한미가 협의한 3개 공동연구 및 3개 정보교환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도 해당 프로젝트를 충실히 이행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연구용 원자로의 고농축우라늄(HEU) 사용 최소화, 2019년 '글로벌핵테러방지구상(GICNT)' 워크샵 한국 개최, 핵안보 시나리오 기반 정책토의 등 협력사업을 통한 국제 핵안보 강화 노력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2017년 양국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된 이번 회의는 양국 정부 간 전략적 원자력 파트너십에 대한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고, 다양한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진솔하게 대화 나눈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미 원자력 고위급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내년 서울에서 개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4: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555,000
    • +0.76%
    • 이더리움
    • 5,323,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1%
    • 리플
    • 722
    • -0.41%
    • 솔라나
    • 229,600
    • -1.2%
    • 에이다
    • 628
    • -0.79%
    • 이오스
    • 1,137
    • -0.18%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06%
    • 체인링크
    • 25,310
    • -1.48%
    • 샌드박스
    • 650
    • +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