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닥 862.51p, 하락(▼9.81p, -1.12%)마감. 개인 +2346억, 외국인 -895억, 기관 -1196억

입력 2018-04-04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 출발했던 코스닥시장이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에 밀려 장 종반 하락 마감했다.

4일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81포인트(-1.12%) 하락한 862.51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개인만 홀로 매수 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였다.

개인은 2346억 원을 순매수 했으며 외국인은 895억 원을, 기관은 1196억 원을 각각 순매도 했다.

업종별 현황은 건설(+0.31%)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운송(+0.24%)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숙박·음식(-1.98%) 오락·문화(-1.91%)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IT S/W & SVC(-1.53%) IT H/W(-1.47%) 유통(-1.31%) 등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자동차(+2.33%), 바이오시밀러(+1.38%), 통신(+0.77%)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눈에 띄었으며, 2차전지(-4.51%), 원자력발전(-3.55%), IT(-3.25%), 탄소 배출권(-2.97%), 엔터테인먼트(-2.90%) 관련주 테마는 상대적으로 내림세로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8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제넥신이 6.36% 오른 11만7000원에 마감했으며, 에이치엘비(+4.86%), 메디톡스(+4.31%)가 상승한 반면 포스코켐텍(-9.98%), 파라다이스(-4.72%), 스튜디오드래곤(-4.06%)은 하락한 채 장을 마쳤다.

그 외에도 에코마이스터(+22.45%), 리드(+20.26%), 동신건설(+19.39%)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한프(-13.14%), 아진산업(-11.02%), 에스피지(-10.12%) 등은 하락폭을 키웠다. 스킨앤스킨(+29.99%), 푸른기술(+29.89%)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257개 종목이 상승했으며 901개 종목이 하락, 7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060원(+0.36%)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일본 엔화는 994원(+0.04%), 중국 위안화는 168원(+0.03%)을 마감했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702,000
    • +0.37%
    • 이더리움
    • 5,292,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707,000
    • +3.51%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8,900
    • +0.08%
    • 에이다
    • 640
    • +0.63%
    • 이오스
    • 1,098
    • +0%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450
    • +2.17%
    • 체인링크
    • 24,350
    • +0.87%
    • 샌드박스
    • 650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