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색 달걀이 한국에서 사라진 건 마케팅 때문?

입력 2017-01-15 14: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70년대까진 대부분 흰색…80~90년대 ‘토종닭 마케팅’ 갈색 선호…산란계는 둘 다 외국닭

▲AI(조류인플루엔자) 사태로 미국에서 수입된 달걀이 도착한 14일 오전 인천 중구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가 미국산 달걀을 점검하고 있다. 인천공항=연합뉴스
▲AI(조류인플루엔자) 사태로 미국에서 수입된 달걀이 도착한 14일 오전 인천 중구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가 미국산 달걀을 점검하고 있다. 인천공항=연합뉴스

미국산 달걀이 처음으로 대량 수입되면서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흰색 달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 역시 1970년대까지 달걀 판매량의 대부분이 흰색이었으나 90년대 이후 마케팅 영향을 받아 시장에서 사라졌다는 분석이다. 대한양계협회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 유통되는 달걀의 99%는 갈색이다.

달걀의 껍데기 색은 어미 닭의 품종에 따라 결정된다. 산업적으로 사육되는 산란계(알 낳는 닭) 품종은 글로벌 육종회사들이 빨리 자라고 많은 알을 생산할 수 있도록 개량한 흰색 품종(레그혼)과 갈색 계통 품종(로드 아일랜드 레드·뉴햄프셔 등)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한국은 주로 갈색 계통의 품종을 수입하고 있어 달걀 역시 갈색이다. 하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상황은 정 반대였다. 강원대 이규호 교수의 '백색 산란계와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 비교'(1998) 논문에 따르면 당시 국내 산란계 10마리 중 9마리는 백색 품종이었다.

세계 2차대전 이후 육종회사들이 산란능력이 우수하고 생산비가 적게 드는 백색 산란계 교배종을 잇달아 내놓았다. 당시만 해도 산업적인 측면에서 백색 산란계가 갈색종보다 우수하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지난 9일 광주 북구 말바우시장 내 한 달걀 판매점에서 광주 북구청 직원들이 불량 달걀 유통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지난 9일 광주 북구 말바우시장 내 한 달걀 판매점에서 광주 북구청 직원들이 불량 달걀 유통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하지만 1970년대를 기점으로 뒤늦게 갈색 산란계의 품종 개량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면서 생산성 및 사육 비용이 백색 산란계와 비슷해졌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20%대에 불과했던 갈색 산란계 사육 비중이 점차 늘어났으며 한국도 갈색 산란계 비율이 1975년 14%, 1986년 60%, 1990년 80%, 1991년 98% 등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특히 1980~1990년대 국내 계란 유통업체들의 '토종 달걀' 마케팅이 '갈색 달걀' 선호에 영향을 미췄다는 분석도 있다.

황교익 맛칼럼니스트는 한 TV프로그램에서 “한국은 80-90년대 토종닭 마케팅이 있었는데, 갈색 달걀이 토종닭이라는 것”이라고 “사실 흰 달걀이나 갈색 달걀이나 둘다 외국 닭”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3: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40,000
    • +1.94%
    • 이더리움
    • 5,266,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665,000
    • +3.26%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8,400
    • +2.76%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117
    • +0.72%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400
    • +2.58%
    • 체인링크
    • 24,640
    • +0.78%
    • 샌드박스
    • 639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