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개장] 코스피 2034.2p, 외국인 순매수에 상승세 (▲3.08p, +0.15%)

입력 2016-08-09 09: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외국인의 순매수세 유입에 코스피시장이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9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3.08포인트(+0.15%) 상승한 2034.2p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매수를 보이고 있고, 개인과 기관은 매도 중이다.

외국인은 30억 원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억 원을 기관은 56억 원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의료정밀(+3.63%) 업종의 상승 출발이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음식료품(+1.17%) 섬유·의복(+0.43%) 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0.62%) 전기가스업(-0.28%) 등은 내림세다.

이외에도 의약품(+0.30%) 운수장비(+0.30%) 서비스업(+0.28%) 등의 업종이 상승 중이며, 건설업(-0.13%) 종이·목재(-0.10%) 통신업(-0.06%)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삼성전자가 +0.06% 오른 157만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소폭 오름세로 출발했다.

아모레퍼시픽이 +2.37% 오른 38만8500원을 기록중이고, LG생활건강(+1.16%), 현대차(+1.13%)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하이닉스(-1.00%), 신한지주(-0.73%), 한국전력(-0.65%)은 하락 출발하고 있다.

그외 샘표(+22.61%), 샘표식품(+19.60%), 롯데관광개발(+14.33%)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동양우(-9.21%), 금호산업우(-7.80%), 동양2우B(-7.59%) 등은 하락폭을 키워가고 있다.

현재 383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47개, 155개 종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06.20원(-0.21%)으로 하락 출발했으며, 일본 엔화는 1,081.28원(-0.06%), 중국 위안화는 165.87원(-0.19%)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22,000
    • +0.26%
    • 이더리움
    • 5,198,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39%
    • 리플
    • 722
    • -1.5%
    • 솔라나
    • 230,400
    • -1.58%
    • 에이다
    • 629
    • -1.26%
    • 이오스
    • 1,109
    • -1.86%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48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00
    • -1.49%
    • 체인링크
    • 25,510
    • +1.23%
    • 샌드박스
    • 609
    • -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