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中 TCL그룹과 물류법인 설립…글로벌 톱5 도약

입력 2016-08-02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J스피덱스' 설립 계약식을 진행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이사(왼쪽)와 리둥셩 TCL그룹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CJ대한통운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이사(왼쪽)와 리둥셩 TCL그룹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글로벌 TOP5 물류기업 달성을 위한 세계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CJ대한통운은 1일 오후 중국 심천시에서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이사와 리둥셩 TCL그룹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 3대 종합전자회사 TCL그룹과 물류 합작법인 'CJ스피덱스' 설립 계약식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TCL그룹은 TV, 백색가전, 스마트폰 등을 생산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종합 전자회사다. 지난해 매출액은 19조원에 달하며, 해외매출 비중이 4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스마트 제품 제조와 인터넷 응용 서비스 기업을 목표로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기반으로 컨텐츠 플랫폼과 O2O(온·오프 연계) 비즈니스 등으로 업무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CJ스피덱스는 전기·전자 전문 물류역량을 확보해 신규 물량을 창출하고 중국 내 40여개 지역물류센터와 4만여 협력사 네트워크를 활용한 O2O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CJ대한통운이 보유한 첨단 기술과 시스템, 컨설팅 역량을 바탕으로 TCL그룹의 물류 선진화를 이끌어 중국 내 계약 물류 사업 강화 뿐 아니라 포워딩 물량 확대와 해외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실제 CJ대한통운은 최근 중국 물류시장을 중심으로 인수합병(M&A)과 전략적 제휴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2013년 4월 중량물 운송전문기업인 'CJ스마트카고'를, 지난해 9월에는 중국 최대 냉동·냉장물류기업인 'CJ로킨'을 인수한 바 있다.

CJ스피덱스는 전기·전자물류 분야에 특화돼 식품·화장품·화학분야 등 콜드체인 전문 물류기업인

CJ로킨과 건설·플랜트 기자재 국제운송분야에 강점을 가진 CJ스마트카고와 상호 보완을 통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이사는 “TCL그룹의 물류 합작법인 설립으로 기존 중 국내 물류사업을 비롯해 CJ로킨, CJ스마트카고와의 상호 시너지를 통해 원스톱 통합물류 솔루션 제공이 가능해졌다”며, “특히 성장성이 높은 전기·전자 산업군 물류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5: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43,000
    • -0.82%
    • 이더리움
    • 5,006,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91,000
    • -3.11%
    • 리플
    • 689
    • -0.58%
    • 솔라나
    • 206,900
    • +1.17%
    • 에이다
    • 577
    • -1.37%
    • 이오스
    • 902
    • -3.63%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7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750
    • -3.08%
    • 체인링크
    • 20,660
    • -1.43%
    • 샌드박스
    • 516
    • -5.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