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쇼크] 산업부, 긴급 실물경제 점검회의 개최... “실물경제 영향 제한적”

입력 2016-06-24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는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으로 당장 우리 실물경제, 즉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다만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브렉시트가 영국과 EU는 물론,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실물경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오후 2시 30분 이관섭 1차관 주재로 ‘긴급 실물경제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를 비롯해 중소기업청, 코트라,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날 영국의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 탈퇴 득표율이 52%를 보이자 영국의 EU 탈퇴가 현실화됐다고 보고 브렉시트가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브렉시트가 세계 경제에 중대한 위험요인이지만 우리 실물 경제에 당장 미치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나라의 대(對) 영국수출은 지난해 73억8000만달러로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 정도에 불과하다. 영국의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도 2억6000만달러로 전체 외국인 투자액(20조9,000억달러)의 1.2% 수준으로 직접적인 영향력이 크지 않은 편이다.

또 참석자들은 정부는 리스본 조약에 따라 영국이 실제 유럽연합에서 탈퇴하기까지 걸리는 최소 2년의 기간 동안은 한ㆍEU 자유무역협정(FTA) 효과가 지속되는 만큼 우리나라의 수출과 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 전망했다.

다만 외환 등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간접적 영향이 우려되는 만큼 체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장기적으로는 EU를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 세계 경기 및 교역량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산업부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시장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면밀히 대응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영국을 비롯한 전 EU회원국 공관 및 코트라 무역관을 통해 현지 동향 및 진출 기업 관련 보고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라며 “브렉시트의 향후 전개 시나리오별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61,000
    • -2.34%
    • 이더리움
    • 4,956,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588,500
    • -3.6%
    • 리플
    • 726
    • +4.76%
    • 솔라나
    • 201,700
    • -2.84%
    • 에이다
    • 568
    • -3.24%
    • 이오스
    • 880
    • -5.68%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800
    • -2.93%
    • 체인링크
    • 20,190
    • -4.9%
    • 샌드박스
    • 490
    • -9.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