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현 코웨이 대표 “2018년까지 제품 80%, IoT로 구축”

입력 2016-01-07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조 건의 빅데이터 수집해 플랫폼 마련… "올해 IoT 향한 원년 될 것"

▲김동현 코웨이 대표이사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 전시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사진=코웨이)
▲김동현 코웨이 대표이사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 전시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사진=코웨이)

김동현<사진> 코웨이 대표이사가 “오는 2018년까지 출시 제품 중 약 80%를 사물인터넷(IoT) 제품과 서비스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에서 기자들과 만나 “1조 건의 생활환경ㆍ가족건강 관련 빅데이터 수집을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나갈 것”이라며 "추후에는 다양한 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더 많은 제품과 서비스를 연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번 CES에서도 핵심 키워드가 된 것은 IoT였다. 코웨이도 지난 1년간 국내 1300곳의 가정으로부터 14.4TB(테라바이트), 약 30억건의 실내공기질을 수집ㆍ분석해왔다. 이어 정수기를 통한 물 음용 데이터, 비데를 통한 건강 데이터, 매트리스를 통한 수면질 데이터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는 타사는 따라 할 수 없는 코웨이만의 자산이자, 혁신적인 IoT 시대를 여는 최고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이제 각 기업은 IoT 기술 경쟁이 아닌,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줄 수 있는 효용성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대표는 코웨이의 IoT가 다른 기업들의 원격제어, 현황 모니터링 제공 수준과는 근본부터 다르다고 자신했다. 실제 코웨이는 이번 CES에서 가정 내 정수기, 공기청정기, 매트리스가 하나로 연동되고, 모든 데이터가 융합디는 통합 맞춤형 솔루션을 전시하고 있다.

김 대표는 "코웨이 IoT가 주목받는 것은 사람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곳인 집이 배경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수기, 비데 등이 서로 연동돼 기대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오는 2018년까지 코웨이가 출시하는 제품의 약 80%를 IoT와 접목시키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 대표는 "앞으로 코웨이는 IoT를 신(新)성장동력으로 삼고, 렌털회사∙서비스회사라는 타이틀을 넘어 ‘고객 라이프 케어 회사’로 발돋움하겠다"며 "올해는 코웨이가 IoT를 향한 포문을 여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시, 북한 ‘오물 풍선’ 신고 36건 접수…24시간 대응체계 가동
  • '놀면 뭐하니?-우리들의 축제' 티켓예매 7일 오후 4시부터…예매 방법은?
  • '선친자' 마음 훔친 변우석 "나랑 같이 사진찍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껑충 뛴 금값에…‘카드형 골드바’, MZ세대 신재테크로 급부상
  • 밥상물가 해결한다...트레이더스 ‘푸드 페스티벌’ 개막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11,000
    • +0.31%
    • 이더리움
    • 5,356,000
    • +1.73%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81%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3,200
    • +0.17%
    • 에이다
    • 633
    • +1.61%
    • 이오스
    • 1,137
    • +0.18%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12%
    • 체인링크
    • 25,800
    • +0.55%
    • 샌드박스
    • 622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