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뢰 추정 서해대교 화재…기상청 "해당 시간에 낙뢰 없었다"

입력 2015-12-04 15: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해대교 화재

▲3일 오후 6시 10분께 경기도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현장 주변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다리 상판과 주탑 꼭대기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화재로 인해 끊어져 있다.(빨간색 점선)(사진=연합뉴스)
▲3일 오후 6시 10분께 경기도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현장 주변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다리 상판과 주탑 꼭대기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화재로 인해 끊어져 있다.(빨간색 점선)(사진=연합뉴스)
▲3일 오후 6시 10분께 경기도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현장 주변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다리 상판과 주탑 꼭대기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화재로 인해 끊어져 있다.(빨간색 점선)(사진=연합뉴스)
▲3일 오후 6시 10분께 경기도 평택시 서해대교 목포방면 행담도 휴게소 2㎞ 전방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현장 주변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다리 상판과 주탑 꼭대기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화재로 인해 끊어져 있다.(빨간색 점선)(사진=연합뉴스)

서해대교 화재 원인과 관련해 도로공사 관계자의 "번쩍하는 섬광을 봤다"는 증언 이후 낙뢰일 가능성키 커졌다. 그러나 기상청은 해당 시간에 낙뢰가 없었다고 밝혀 화재 원인에 대한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도로공사, 소방본부 등은 4일 오전 충남 당진 서해대교 위에서 진행된 현장감식을 진행했다.

전날 오후 6시 10분께 충남 당진시 서해대교 목포 방향 2번 주탑 교량 케이블에서 불이 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에 의해 3시간 30분 만에 꺼졌다.

이 불로 끊어진 케이블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평택소방서 이병곤 포승안전센터장(54·소방경)을 덮쳐 이 소방경이 순직했다.

이날 진행된 현장 감식에서 관계당국은 화재로 끊어진 지름 280㎜의 케이블 단면과 불에 탄 모습을 토대로 화재 원인을 규명하는 데 주력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낙뢰를 맞아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찰과 같은 다른 원인으로 불이 났을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이다. 현장에 참여한 교량 전문가도 낙뢰 외에 다른 가능성은 찾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어 케이블이 오랫동안 불에 타면서 고온에 절단됐을 수 있다고 전했다.

(출처 = 연합뉴스)
(출처 = 연합뉴스)

국토부 측도 화재원인을 낙뢰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당시 서해대교관리소 직원들이 여러 차례 천둥소리를 들었고, 지상 80m 높이에서 불이 시작됐다는 이유에서다.

도로공사 측은 서해대교에는 피뢰침이 4개가 달려 있지만, 낙뢰가 피뢰침이 아닌 강선에 맞아 화재가 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기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온 기상청은 '그 시각에 낙뢰는 없었다'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다.

기상청은 전국에 낙뢰 관측센터를 운영하면서 낙뢰 발생 여부를 24시간 지켜보고 있는데, 이날 오후 6시 이후 관측 장비에 낙뢰는 감지되지 않았다. 이 센서는 땅으로 내려오지 않고 구름 위에서 만들어지는 천둥과 번개까지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즉, 이 센서에 관측되지 않았다는 것은 구름 위에서도 낙뢰가 없었다는 의미다.

불이 난 때와 가장 가까운 시각, 위치에서 발생한 낙뢰는 오후 5시 50분께 경기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 도리도 인근 해상, 평택 북부와 화성 부근인데, 서해대교와는 거리가 다소 있다.

현장 전문가들과 기상청의 의견이 다름에 따라, 절단 케이블에 대한 감식과 분석 등을 통해 정확한 화재원인이 파악될 때까지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98,000
    • -0.2%
    • 이더리움
    • 5,187,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657,500
    • -3.45%
    • 리플
    • 696
    • -1.28%
    • 솔라나
    • 223,000
    • -2.71%
    • 에이다
    • 615
    • -2.38%
    • 이오스
    • 995
    • -3.21%
    • 트론
    • 161
    • +1.26%
    • 스텔라루멘
    • 140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500
    • -3.46%
    • 체인링크
    • 22,640
    • -1.78%
    • 샌드박스
    • 582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