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웨어러블 배터리 시대 연다… 자유자재로 휘는 ‘스트라이프 배터리’ 공개

입력 2015-10-2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터배터리 2015’ 참가… 스마트워치용 ‘밴드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선보여

▲모델이 삼성SDI가 ‘인터배터리 2015’에서 공개한 스트라이프 배터리와 밴드 배터리를 소개하고 있다. ( 사진제공=삼성SDI)
▲모델이 삼성SDI가 ‘인터배터리 2015’에서 공개한 스트라이프 배터리와 밴드 배터리를 소개하고 있다. ( 사진제공=삼성SDI)
삼성SDI가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를 공개하며 웨어러블 배터리 시대를 본격화했다.

삼성SDI는 20일부터 3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스트라이프 배터리와 밴드 배터리를 공개했다.

이번에 최초로 공개한 스트라이프 배터리는 섬유와 같이 자유자재로 휠 수 있는 유연성과 혁신적인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차세대 배터리다. 스트라이프 배터리는 목걸이, 헤어밴드, 티셔츠 장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해 앞으로 웨어러블을 포함한 각종 배터리 애플리케이션 시장 확대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스트라이프 배터리에는 삼성SDI가 독자 개발한 요소 기술들이 적용됐다. 특히 내·외장재 설계에 첨단 소재기술을 적용해 두께 0.3mm의 초슬림 디자인을 완성했다. 또 실링 폭 최소화 기술로 기존 유사 배터리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했다.

밴드 배터리는 스마트워치를 타깃으로 개발된 차세대 제품으로, 기존 스마트워치 줄에 밴드 배터리를 적용하면 용량을 최대 5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밴드 배터리는 사람 손목 둘레 수준의 곡률 범위 내에서 약 5만번 이상의 굽힘 테스트 후에도 정상 작동이 가능해 충분한 상품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삼성SDI는 이번 전시회에서 스트라이프 배터리와 밴드 배터리가 적용된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시연했다. 삼성SDI는 이와 함께 5년 연속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의 소형배터리 제품을 비롯해 전기차 배터리와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배터리 전 분야를 선보였다.

소형배터리 부문에서는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파워툴(전동공구), 전기자전거, 골프카트 등의 뉴애플리케이션용 배터리를 전면에 내세웠다. 자동차용 배터리 부문에서는 BMW의 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 ‘i8’에 독점 공급하고 있는 배터리를 비롯해 다양한 셀, 모듈, 팩 제품을 공개했다. ESS 부문에서는 대형 빌딩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UPS(무정전 전원 장치)와 가정용 ESS 제품 등을 전시했다.

삼성SDI는 전시 콘셉트를 ‘에너지 디자이너 배터리’와 ‘미래 디자이너 삼성SDI’로 설정하고, ‘City Life(도시 생활)· Home(가정)·Outdoor(옥외)’ 등 3가지 부스 테마를 통해 BoT(Battery of Things)가 구현하는 미래상을 전시장에 연출했다.

김헌수 삼성SDI 배터리연구소 전무는 “스트라이프 배터리와 밴드 배터리는 웨어러블 배터리 시대를 이끌어 갈 차세대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한 발 앞선 배터리 혁신 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22,000
    • -0.5%
    • 이더리움
    • 5,245,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0.69%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6,100
    • -0.55%
    • 에이다
    • 630
    • -1.56%
    • 이오스
    • 1,132
    • +0.53%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00
    • -0.06%
    • 체인링크
    • 25,890
    • +1.65%
    • 샌드박스
    • 622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