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미국ㆍ이란과 양자면담…美에 동북아개발은행 지원 요청

입력 2015-10-11 15: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제통화기금(IMF)·WB 연차총회 참석차 페루 리마를 방문중인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일(현지시간) 페루중앙은행에서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과 양자회담을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국제통화기금(IMF)·WB 연차총회 참석차 페루 리마를 방문중인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일(현지시간) 페루중앙은행에서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과 양자회담을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이컵 루(Jacob Lew) 미국 재무장관과 알리 타예브니아(Ali Taiebnia) 이란 재무장관을 차례로 만나 주요 경제정책 현안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먼저 최 부총리는 9일 오후(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열린 '2015년 IMFㆍWB 연차총회'를 계기로 루 장관을 만나 양자면담을 가졌다.

특히 최 부총리는 우리나라가 북한 핵포기를 전제로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을 추진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최 부총리는 "원칙적으로 6자회담 관련 당사국 중심으로 설립하되 관련국가의 참여도 가능하다"며 "북한 핵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leverage)으로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또 10일 오전(현지시간)엔 알리 타예브니아(Ali Taiebnia) 이란 재무장관과 면담을 갖고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이란 제재 해제 이전에 비해 최근 양 국간 교역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며 "하지만 제재 해제시 경제협력은 빠른 시일내 정상화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타예브니아 장관도 "이란은 과거부터 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기 때문에 미국의 제재 해제시 양국의 경제협력이 빠른 시일내 제재이전 수준으로의 복귀가 예상된다"며 "4억명에 달하는 중동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도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자원, 자동차, 발전소, 정유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한국기업들의 진출을 기대하고 있고 이란에 대해 한국의 직접 투자가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 부총리는 "오는 12월에 개최 예정인 한-이란 경제공동위를 통해 양국간 구체적인 협력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며 "한국 기업들이 이란에 보다 더 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이란과의 면담에는 이덕훈 수출입은행장과 모하마드 카자이(Mohammad Khazaei) 이란 재무부 차관 겸 투자청장도 참석해 한국 기업의 이란 진출 시 금융지원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77,000
    • -0.19%
    • 이더리움
    • 5,029,000
    • +2.44%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18%
    • 리플
    • 697
    • +1.31%
    • 솔라나
    • 191,000
    • -1.9%
    • 에이다
    • 547
    • +2.24%
    • 이오스
    • 809
    • +4.39%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2.39%
    • 체인링크
    • 20,380
    • +4.78%
    • 샌드박스
    • 461
    • +5.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