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 中文 브랜드로 승부하라

입력 2007-03-1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지인이 느낄 수 있는 어감 고려해야

중국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어로 된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4일 한국무엽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한국기업의 중국현지화 전략-브랜드 네이밍을 중심으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 진출한 세계 주요기업들은 중국식 브랜드를 도입해 현지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고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무연연구원에 따르면 월마트는 '沃尔玛(워얼마)', 마이크로소프트는 '微软(웨이롼)', 노키아는 '诺基亚(누어지야)' 등 중문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무역연구원은 "이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은 한문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우리나라 기업 중 대중수출규모 기준으로 상위 5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기업명이 순 한자어로 된 16개 업체 중에 13개 업체(약 81%)가 한자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이어 "우리기업이 중국내수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쓰는 한자 기업명이나 상표를 그대로 쓰는 것 보다는 중국인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중문식 브랜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중문식 브랜드 도입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외국 주요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중문명 브랜드를 예로 보면 ▲沃尔玛(워얼마, Wal-Mart) ▲麦当劳(마이땅라오, Mcdonalds) ▲诺基亚(누어지야, NOKIA) 등은 음역을 한 것이고 ▲通用电气(통용띠엔치, GE) ▲国际商用机器(구어지샹용지치, IBM) ▲有线新闻网(요씨엔신원왕, CNN) 등은 의역으로써 한자의 뜻을 이용한 것이다.

무역연구원은 "글로벌기업들이 상품의 중문 브랜드명을 정할 때, 화장품류·고가 악세사리류는 의역기법을, 위생·사무용품류·자동차는 음역기법을, 세정용품·제지류·세제류·기호식품류는 의역+음역기법, 식품류는 새로운 의미부여 기법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품목별로 자주 사용되는 한자와 이미지로는 세정제류의 경우 ▲芬(향기날 분) ▲洁(깨끗할 결)과 같은 세정제품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는 한자가 사용되고 식품류의 경우 ▲喜 ▲美 ▲樂처럼 제품을 통해 얻어지는 기쁨·아름다움·즐거움을 뜻하는 한자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희영 연구원은 "브랜드를 정할 때는 중국 현지인들만이 느낄 수 있는 어감까지 고려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지인을 통해 확인 작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국제무역연구원이 제시한 中文 브랜딩 지침이다.

[ 中文 브랜딩 7대 지침 ]

1. 중국의 문화 이해를 우선하라.

2. 뜻·소리·이미지를 함께 고려한 고도화 기법을 활용하라.

3. 품목에 어울리는 한자와 이미지를 활용하라.

4. 국내에서 쓰던 한자명을 중국시장에서 고집하지 말라.

5. 중국에서 금기시하는 단어와 이미지 사용에 유의하라.

6. 중국시장에서 이미 강하게 인식된 브랜드는 개명하지 말라.

7. 중국 현지인의 확인 작업을 반드시 거쳐라.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매크로 이슈 속 널뛰기하는 비트코인, 6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 거듭 [Bit코인]
  • 엑소 첸백시 측 긴급 기자회견 "SM엔터 부당한 처사 고발"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580,000
    • -0.4%
    • 이더리움
    • 5,158,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659,000
    • -0.75%
    • 리플
    • 704
    • +1%
    • 솔라나
    • 225,700
    • -0.88%
    • 에이다
    • 622
    • +0.32%
    • 이오스
    • 996
    • -0.6%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41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900
    • -3.05%
    • 체인링크
    • 22,450
    • -0.58%
    • 샌드박스
    • 588
    • +0.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