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개선 시안]수능 오류, 얼마나 차단할까…실효성 ‘글쎄’

입력 2015-03-17 15: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교육부가 지난해 12월 꾸린 수능개선위원회가 17일 개선안 시안을 발표한 가운데 앞으로 수능 난이도 조절과 오류 사태 방지를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시안에는 문제 출제부터 검토, 사후점검까지 다양한 방안이 포함됐다.

먼저 외부의 교과 및 평가전문가를 중심으로 '수능분석위원회'를 구성, 기존 수능과 모의평가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출제전략을 수립한다는 구상이다.

그동안 교육과정평가원 중심으로 출제 전략이 수립되면서 객관적인 분석과 전략 수립에 한계가 있었다는 게 수능개선위의 판단이다.

또 수능개선위는 우수한 출제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교과교육 전공자뿐 아니라 교과내용 전공자의 참여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교사를 대상으로 ‘출제역량 강화 연수과정’을 개설하고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고교 교육과정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2015학년도 수능부터 허용된 출제진의 인터넷 검색도 최선 자료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강화하기로 했다. 일부 과목에서는 출제진의 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출제인원과 기간이 조정된다.

사회탐구·과학탐구의 과목별 출제인원을 현재 4∼5명에서 5∼6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출제기간은 사회탐구가 16일에서 18일로, 과학탐구가 17일에서 19일로 이틀씩 늘어나고 제2외국어와 한문도 15일에서 17일로 바뀐다.

문제 검토 단계에서는 그동안 출제위원단 소속이던 평가위원을 검토위원단 소속으로 바꾸고 그동안 없었던 검토위원장을 외부 인사로 선임하는 것이 핵심이다.

검토위원장은 신설될 ‘문항점검위원회’를 2차례 주재하고 문제의 오류 가능성을 점검한다.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한문영역의 검토위원도 다른 영역처럼 검토 시작 이틀 전에 입소해 충분한 워크숍 기간을 갖는 방안이 포함됐다.

수능 시행 이후 절차에도 외부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그동안 교육과정평가원과 출제 참여자 위주로 구성된 '이의심사위원회'에 출제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 인사를 과반수로 늘릴 계획이다.

또 매년 수능 출제·운영 전반에 대한 사후점검도 교육과정평가원의 자체 평가에서 수능분석위원회 주관으로 바꾸는 안이 제시됐다.

평가원의 기초분석과 수능분석위의 심층분석을 체계화해 정교한 출제전략을 수립하고 영역별로 만점자가 지나치게 많이 나오지 않도록 응시집단에 대한 분석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EBS 교재와 수능의 연계율을 70% 수준으로 유지하되, 영어 영역에서 EBS 교재의 지문을 수능에 그대로 활용하는 문항(전체 문항의 70%)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방안 등 3가지 개선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수능개선위의 이번 개선 시안 발표가 얼마나 실효성 있는 대책이 있냐는 비판적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문제점으로 꼽혀온 교수 중심의 문제 출제, EBS 연계방식 개선 등에서 과감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민감한 분야는 손을 대지 않았다.

현재 출제위원 가운데 교수와 교사의 비율은 6대 4 정도이고 특히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 교사 비중은 35% 정도로 더 낮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안상진 부소장은 “수능개선위가 결단력 있는 정책을 제시하지 않은 점이 답답하다”며 “지금 수능 출제진이 워낙 교수 중심으로 돼 있는데 교육과정을 잘 아는 교사 중심의 출제로 틀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 “영어 영역에서 학생들이 EBS 해석본을 외우는 문제점은 이미 다 드러났음에도 수능개선위는 3가지 안만 제시하는 애매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능 개선위의 난이도 안정화 방안을 두고는 올해 치러질 수능이 지난해보다 다소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수능개선위가 만점자의 과다 발생을 막고 실력이 아닌 실수로 등급이 결정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으로 볼 때 작년 수능보다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40,000
    • +2.44%
    • 이더리움
    • 5,263,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670,500
    • +3.23%
    • 리플
    • 732
    • +1.24%
    • 솔라나
    • 239,100
    • +4.18%
    • 에이다
    • 639
    • +1.27%
    • 이오스
    • 1,121
    • +1.82%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00
    • +3.97%
    • 체인링크
    • 24,680
    • +0.82%
    • 샌드박스
    • 641
    • +2.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