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중산층 살리기’ 승부수에 월가 ‘긴장’

입력 2015-01-22 00:02 수정 2015-01-22 0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정연설서 ‘부자 증세’로 중산층 지원 계획 밝혀...대형은행, 세부담 불가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블룸버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중산층 살리기’ 정책으로 월가 대형은행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고 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연설을 통해 부자 증세와 중산층 지원을 집권 후반기의 중점 과제로 제시하면서 월가 대형은행에 대한 세금 부담 역시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일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장에서 최대 지지 기반인 중산층에 대한 지원을 내세워 임기 말까지 자신의 핵심 어젠다를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구체적으로 중산층에 대한 세금을 인하하고, 초고속 광대역 인터넷망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무료 커뮤니티 칼리지와 연 최대 7일간의 유급 병가 등을 통해 중산층을 육성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 같은 중산층 살리기를 위한 재원은 부자 증세를 통해 10년간 3200억 달러(약 345조원)를 마련해 충당할 계획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이를 위해 앞서 15%에서 23.8%로 올렸던 자본소득 최고세율을 28%로 추가로 인상하고, 주식 등의 유산 상속분에 소득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월가 대형은행 등 자산 500억 달러 이상 100대 금융기관으로부터 은행세 역시 거둘 것으로 보인다.

상·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이 버티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오바마 대통령의 이 같은 구상이 현실화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는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이 은행권에 대한 사실상의 증세에 나서면서, 대형은행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규모 자체가 작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브라이언 가드너 키프,브루이트앤드우즈(K,B&W) 주식 리서치 책임자는 “오바마 대통령의 세제안이 의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은행권이 다운사이징에 나설 수는 있다”고 예상했다.

월가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아이작 볼탄스키 컴패스포인트리서치앤드트레이딩 수석 부사장은 “이미 은행권은 자본 확충 등의 규제에 시달리고 있다”며 “추가적인 규제 압박은 미국의 ‘머니센터’ 매력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글라스 엘리엇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오바마 대통령의 계획이 월가에 미칠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봤다. 그는 “월가 대형은행의 자산 규모는 500억 달러를 크게 웃돈다”며 “정부의 규제로 이들 대형은행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은행주는 전반적인 오름세를 나타냈다. 자산이 2조5000억 달러가 넘는 JP모건체이스의 주가는 개장 직후 0.15% 올랐고, 2조100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한 뱅크오브아메리카는 0.3% 상승했다.

자산 1조8000억 달러의 씨티그룹이 0.8% 상승했고, 8680억 달러의 자산을 확보한 골드만삭스는 0.12% 하락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외교·안보정책과 관련해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대해서는 지상군 투입 없이 미군 주도의 공습을 통해 격퇴 작전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세계적인 테러위협 확산에는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히고, 소니픽처스엔터테인먼트 해킹 등 사이버공격에 대해서는 위협에 맞서기 위해 정보를 통합할 것이라며 의회에 관련 법안의 통과를 촉구했다.

소니 해킹의 주범으로 지목했던 북한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매크로 이슈 속 널뛰기하는 비트코인, 6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 거듭 [Bit코인]
  • 엑소 첸백시 측 긴급 기자회견 "SM엔터 부당한 처사 고발"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509,000
    • -0.5%
    • 이더리움
    • 5,147,000
    • -1.15%
    • 비트코인 캐시
    • 659,000
    • -0.75%
    • 리플
    • 702
    • +0.43%
    • 솔라나
    • 225,200
    • -0.84%
    • 에이다
    • 619
    • -0.16%
    • 이오스
    • 993
    • -0.9%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850
    • -2.93%
    • 체인링크
    • 22,340
    • -0.98%
    • 샌드박스
    • 586
    • -0.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