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관광호텔 등 지방세 감면대상서 제외…세수 1조원 확보

입력 2014-11-04 10: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관광호텔과 부동산펀드, 알뜰주유소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혜택이 없어지고, 대형병원 등에 대한 감면혜택이 축소돼 1조원 가량의 지방세가 추가로 확보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4일 국무회의에서 연말에 일몰이 도래하는 지방세 감면 규정을 전면 재설계하는 내용을 담은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안전행정부는 현재 23%에 이르는 지방세 감면율을 국세 수준(15% 이하)으로 낮추려는 목표에 따라 서민·취약계층 지원에 해당하는 감면 규정을 제외하고는 감면을 연장하지 않거나 감면 폭을 축소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관광호텔, 부동산펀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각종 연금공단·공제회, 알뜰주유소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 혜택은 사라진다.

또 소방시설 확충을 위한 목적세인 지역자원시설세와 주민세는 감면 대상 세목에서 제외된다.

대형병원, 새마을금고, 단위조합, 산학협력단, 기업연구소, 산업단지, 물류단지, 관광단지, 창업중소기업, 벤처집적시설에 대한 혜택은 축소된다.

반면 장애인, 노인, 국가유공자, 청소년시설, 전통시장상인조합 등 정부지원이 필요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감면 혜택은 연장된다.

또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는 취득세 감면과 중소기업 특별세액 감면 등 지방소득세 감면도 유지된다.

이날 국무회의를 통과한 지방세 감면 조정안은 지난 9월 안행부의 입법예고 내용보다는 완화, 감면 혜택의 삭감 폭이 줄었다.

이는 입법예고 이후 정부 부처 간 협의 과정에서 해당 업계와 관련 부처가 강력하게 반발한 결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안행부 관계자는 "경제 활성화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분야 등에 대한 일부 감면율을 당초 계획보다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방세 정비계획이 원안대로 국회를 통과하면 약 1조원에 이르는 지방세수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입법예고안이 정부 내 협의를 거치면서 감면율이 올라갔듯이 국회 논의 과정에서도 추가로 감면혜택이 연장될 수 있어 최종 지방세수 규모는 불투명하다.

지방자치단체는 열악한 지방재정을 이유로 비과세 감면제도를 대폭 정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48,000
    • -3.02%
    • 이더리움
    • 4,958,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622,000
    • -5.26%
    • 리플
    • 680
    • -2.72%
    • 솔라나
    • 213,700
    • -4.13%
    • 에이다
    • 598
    • -3.39%
    • 이오스
    • 962
    • -2.93%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7
    • -2.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400
    • -6.46%
    • 체인링크
    • 21,570
    • -3.58%
    • 샌드박스
    • 559
    • -4.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