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ㆍ 벤처 금융지원 대전] 외환은행, 외국환 서비스 강점, 中企대출 증가율↑

입력 2014-09-25 12: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설명 :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가 24일 오전 일산 킨텍스(KINTEX) 제2전시관에서 ‘제1회 대한민국 금융 대전-중소·벤처기업 금융지원 박람회’를 개최했다. 박람회장을 찾은 기업 관계자들이 금융 상담을 받고 있다. 25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이번 금융 지원 박람회는 우수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 지원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박람회에는 15개 은행과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재단, 벤처캐피털사 등 30여개 기관·업체가 참여했다. 이날 박람회장에는 중소·벤처기업, 소상공인 2000여명이 찾아 금융회사와 금융 상담을 벌였다. 노진환 기자 myfixer@

외환은행은 외국환 거래 서비스 금융기관의 장점을 살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은 물론 대출 실적에서도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외환은행 중기사업지원부 신형준 차장은 이투데이가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제1회 대한민국 금융 대전 중소·벤처기업 금융지원 박람회' IR 발표자로 나서 외환은행이 마련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안내했다.

신 차장은 “중소기업 지원에는 여신 뿐만 아닌 해외진출 특화 서비스도 중요하다”며 “외환은행은 수출과 외국환 특화서비스에 강점을 지녔기 때문에 최근 해외 진출이 활발한 중소기업 진출과 지원 서비스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외환은행이 선보이고 있는 수출지원 중기 서비스는 △Hedge Master 서비스 △수출기업 Nego지원 특별펀드 △글로벌 대형 유통망 수출기업 지원 △특수무역 국제분쟁 지원 △수출입 기업의 외국환 규정 상담 △GEM서비스 등이 꼽힌다.

특히 지난 2013년 2월에 설립된 ‘외환은행 중소기업 글로벌자문센터’는 수출입, 외환, 환리스크, 지급보증, 해외진출 관련 등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 기업 컨설팅에 적극 나서 호평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무료 컨설팅에 나선 기업만 현재 520여건 이른다.

신 차장은 “기업의 생애 주기별 금융상품 지원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중소기업 원화 대출의 경우 전년 대비 7월 현재 13.3% 증가했고, 소호 대출도 같은 기간 대비 30.9%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1: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54,000
    • -0.43%
    • 이더리움
    • 5,006,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551,500
    • -1.34%
    • 리플
    • 696
    • -0.57%
    • 솔라나
    • 189,700
    • -3.85%
    • 에이다
    • 545
    • -1.62%
    • 이오스
    • 807
    • +0.6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2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00
    • +0.56%
    • 체인링크
    • 20,320
    • +0.84%
    • 샌드박스
    • 459
    • +0.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