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배트ㆍ골프클럽ㆍ테니스라켓 外 인천아시안게임 장비의 경제학

입력 2014-09-05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AP, 뉴시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개막이 14일 앞으로 다가왔다. 12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인 만큼 기대와 관심이 여느 대회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번 인천 아시안게임에서는 36개 정식종목에서 439개의 금메달을 놓고 열전을 펼친다. 메달 색깔을 놓고 펼치는 각국 선수들의 순위 경쟁은 아시안게임을 보는 백미다. 그러나 각국 선수들의 순위 경쟁 못지않게 흥미로운 것은 각 종목과 장비에 얽힌 이야기다.

36개 정식종목 중 장비를 사용해 볼을 타격하는 종목은 야구(소프트볼), 골프, 하키, 크리켓, 스쿼시,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정구 등이다.

이 중 가장 긴 장비는 골프클럽으로 드라이버 기준 45인치(114.3㎝) 정도다. 야구배트는 42인치(106.7㎝), 크리켓 배트 38인치(96.5㎝), 필드하키 스틱 36인치(91.44㎝) 수준이다. 반면 가장 짧은 장비는 탁구라켓으로 9.5인치(24㎝)에 불과하다.

공을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는 장비도 골프클럽이다.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선수가 드라이버로 티샷 시 평균 300야드 이상 날아간다. 멀리 날아가는 만큼 가장 넓고 긴 경기장이 필요하다. PGA투어 대회장의 평균 전장은 약 7500야드(6858m)다.

가장 작은 공을 치는 연장은 탁구라켓이다. 탁구공은 직경 40㎜로 골프공(직경 42㎜)보다 2㎜ 작다. 가장 가벼운 공을 치는 연장도 탁구라켓으로 탁구공의 무게는 2.5g에 불과하다. 배드민턴 셔틀콕 무게(4.74~5.50g)보다 가볍다.

공의 순간 속도가 가장 빠른 종목은 배드민턴이다. 스매싱 직후 배드민턴 라켓을 떠난 셔틀콕의 순간 속도는 시속 330㎞에 이른다. 다음은 테니스로 국제테니스연맹(ITF)이 공식 기록으로 인정한 시속은 251㎞(156마일)짜리 총알 서브다.

총알 스피드하면 골프도 빠질 수 없다. 타이거 우즈(39·미국)나 최경주(44·SK텔레콤)와 같은 PGA투어 선수들이 드라이버로 티샷했을 때 골프공의 시속은 250㎞까지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은 브랜드나 스펙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골프클럽(드라이버 기준)은 80만~100만원 수준으로 다른 장비에 비해 월등히 비싸다. 필드하키 스틱과 크리켓 배드는 20만~30만원 수준, 스쿼시와 테니스 라켓은 10~20만원 수준이다. 탁구 라켓은 20만원 수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98,000
    • +1.57%
    • 이더리움
    • 5,251,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51,500
    • +0.15%
    • 리플
    • 729
    • -0.55%
    • 솔라나
    • 235,300
    • -0.93%
    • 에이다
    • 626
    • -0.95%
    • 이오스
    • 1,131
    • +0.09%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600
    • +0.75%
    • 체인링크
    • 25,240
    • -3.96%
    • 샌드박스
    • 617
    • -1.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