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은행 노조, 내주부터 신규상품 판매 거부·부분파업 돌입

입력 2014-06-12 14: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29일부터 희망퇴직 접수 500여명 신청..."자산 줄여 자본잉여금 빼가려 해"

한국씨티은행 노동조합이 신규상품 판매 거부와 부분파업 등 3단계 파업에 돌입한다. 대규모 점포 폐쇄와 구조조정 등으로 논란을 빚어 온 노사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은행 노조는 지난 11일 제5차 전영운영위원회를 열고 오는 18일 부터 3차 투쟁명령(신규금지, 부분파업 등)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노조측은 이날 총진군대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투쟁에 나설 방침이다. 노조 관계자는 “대규모 점포 폐쇄와 인원조정을 통해 자산을 줄이고 이에 따른 자본잉여금을 해외로 빼돌리려고 하는 사측의 의도를 알고 있다”며“이는 해외 용역비 유출과는 또 다른 얘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익을 내서 빼가는 것 보다 현재의 자산을 줄여 약 2조원의 자본잉여금을 빼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는 생각을 한 것 같다”며 “결코 껍데기만 남기고 알맹이를 모두 빼나가는 지금의 사태를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씨티은행의 노사 갈등은 사측이 190개 지점 가운데 56개(29.5%)를 없애기로 하면서 촉발됐다. 점포 폐쇄로 650명 가량의 인력 퇴출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고 노조와 사측간 임단협이 결렬되는 등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씨티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희망퇴직을 접수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500여명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씨티은행 전 직원(4240명)의 10%를 넘어선 것으로 직전인 2012년(199명)보다 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희망퇴직 접수가 오는 13일까지 마감인 점을 감안하면 신청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씨티은행은 파격적인 희망퇴직 조건을 제시했다. 기본 퇴직금은 내부 산정기준에 따라 책정된 24~36개월치 임금 등에 별도혜택을 보장해 주는 한편 별도혜택에는 최대 2000만원의 자녀장학금, 퇴직 이후 3년간 종합건강검진(배우자 포함) 등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근속기간이 만 5년 이상인 직원의 경우 12개월치 임금을 추가로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5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세부기준에 충족할 경우 24개월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해 최대 60개월치 퇴직금을 보장해 줄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0: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50,000
    • -0.23%
    • 이더리움
    • 4,956,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0.99%
    • 리플
    • 692
    • -0.86%
    • 솔라나
    • 188,400
    • -1.05%
    • 에이다
    • 542
    • -0.55%
    • 이오스
    • 810
    • +0.5%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2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00
    • -0.4%
    • 체인링크
    • 19,980
    • -1.62%
    • 샌드박스
    • 469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