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人]김준수 KB국민카드 상무 “고객이 원하는 상품 만드는게 중요”

입력 2013-04-26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B국민카드가 KB국민 혜담II카드를 출시했다. 지난해 3월 혜담I을 출시한 지 꼭 1년만이다. 혜담카드는 카드 한 장에 실용적인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담았다는 콘셉트와 마케팅으로 카드시장에 원카드 열풍을 몰고 온 바 있다.

이번에 출시한 혜담II는 전작보다 어떤 차이점을 두고 만들어졌을까.

상품기획부의 김준수 상무는 “혜담I은 라이프스타일에서 많이 쓰는 구간을 선택, 많이 쓸수록 혜택을 보는 구조”라며“반면 혜담II는 고객들이 어느 곳에서 카드를

쓰더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즉, 혜담I의 혜택이‘선택과 집중’이라면 혜담II는 ‘두루두루’이롭게 혜택을 주는 콘셉트라는 것.

혜담I에서는 할인 혜택이 한정된 반면 할인률이 10% 수준으로 높다. 혜담II는 할인 혜택이 주어지는 가맹점이 모든 가맹점으로 확대되는 대신에 할인율을 줄였다. 청구 할인율이 0.8% 수준인 것.

하지만 모든 가맹점에서 제한없이 할인 될 뿐더러 혜담I 처럼 일정액을 넘어가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한도를 두지 않아 더 많은 혜택을 기대할 수도 있다.

김 상무는 “원카드로서 청구할인율 0.8%는 타사와 비교했을 때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타 카드사들의 원카드 할인율은 0.5%, 0.7% 수준이다.

더불어 그는 무이자할부 기능이 혜담II의 필살기 중 하나라 소개했다.

그 동안의 카드들은 특정 가맹점에서만 할부가 가능해 제한이 있었지만 혜담II는 모든 가맹점에서 3개월 무이자할부 기능을 받을 수 있도록 해 고객들의 편리성과 경제적 혜택을 더했다.

이렇게 고객들에게 좋다는 혜택을 모두 모아봤다는 혜담II. 상품 기획 단계에서 부터 중점을 두었던 부분을 물었다.

김 상무는“하나의 상품을 구성할 때 수익성도 따져야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객의 니즈(NEEDS)다. 아무리 회사에게 좋은 상품이라고 하더라도 고객이 원하지 않으면 필요없는 것”이라며 “고객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수익성과 안정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상품전략과 얼마나 유기적으로 연계가 돼 상품이 기획되는지도 지켜봐야 한다”며 “혜담II는 그런 연장선상에서 탄생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75,000
    • +0.22%
    • 이더리움
    • 5,321,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57%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300
    • -0.6%
    • 에이다
    • 632
    • +1.12%
    • 이오스
    • 1,134
    • +0.09%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7%
    • 체인링크
    • 25,870
    • +0.66%
    • 샌드박스
    • 627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