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업무보고] 대규모 화이트해커 키워 사이버 보안

입력 2013-04-18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창조과학부가 18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화이트해커를 대대적으로 양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사이버보안’정책을 제시,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방송 금융 전산망을 순식간에 마비시킨 3·20 사이버테러 해킹같은 엄청난 국가 재난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일종의 사이버보안 로드맵인 셈이다.

미래부는 올해 업무보고의 핵심 사항 중 하나로 ‘사이버 보안’와 이를 통한 ‘첨단 사이버 보안 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미래부는 올해 국가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시설을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정보통신 기반시설 지정’을 방송사, 민간 데이터센터등으로 확대하고, 2017년까지 300개로 늘릴 방침이다. 또 기업 보안수준 인증제 역시 확대해 지난해 150건에 그쳤던 인증건수를 2017년에는 500건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사이버 위협정보 실시간 공유시스템구축과 악성코드 확산 방지를 위한 법제도 마련에도 나선다.

이미 사이버 공격의 도구로 사용되는 악성코드를 막기 위한 법안은 이미 국회에 제출된 상태다. 미래부 박재문 정보화전략국장은 “방통위 시절 이미 법안이 국회에 제출돼 논의가 있었지만,현재 계류중”이라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협의해 법통과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래부는 ‘해킹을 막는 해커’로 불리는 ‘화이트해커’를 양성하고 이를 통해 보안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부 윤종록 제2차관은 “지금까지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한다며 골칫거리로 치부되던 보안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며 “이 같은 발상이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래부는 국내 사이버테러 대응체계를 현재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고 근본적인 사이버 공격 차단에도 나설 방침이다.

윤 차관은 최근 제19회 정보통신망 정보보호워크숍에 참석해 “이스라엘의 경우 무인정찰기(드론)을 띄워 정보를 미리 수집하고 적의 움직임을 사전에 파악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우리도 사이버테러에 대한 ‘사전 예방’체계로의 전환이 필수”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시, 북한 ‘오물 풍선’ 신고 36건 접수…24시간 대응체계 가동
  • '놀면 뭐하니?-우리들의 축제' 티켓예매 7일 오후 4시부터…예매 방법은?
  • '선친자' 마음 훔친 변우석 "나랑 같이 사진찍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껑충 뛴 금값에…‘카드형 골드바’, MZ세대 신재테크로 급부상
  • 밥상물가 해결한다...트레이더스 ‘푸드 페스티벌’ 개막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27,000
    • +0.3%
    • 이더리움
    • 5,361,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96%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3,500
    • +0.13%
    • 에이다
    • 633
    • +1.61%
    • 이오스
    • 1,139
    • +0.44%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18%
    • 체인링크
    • 25,800
    • +0.58%
    • 샌드박스
    • 623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