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서부극 탄생 비화는"…'철암 계속의 혈투'

입력 2012-07-06 09: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열린 제1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후지필름 이터나상과 유럽판타스틱영화제연맹 아시아 영화상 2개 부문을 거머쥐며 화제를 모은, 일명 강원도 웨스턴 ‘철암계곡의 혈투’(감독 지하진, 제작 Spinach N Bean)가 100% 국산 서부영화만의 특별한 탄생 비화를 공개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서 연출을 전공한 지하진 감독은 우연히 ‘로버트 로드리게즈의 10분짜리 영화학교’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아 오랜 동료 지승우 촬영감독과 의기투합해 강원도 서부극을 기획한다. 획기적인 만큼 갑작스러웠던 이 기획은 시작부터 난항의 연속이었다. 그 중 국내에서 서부극 느낌이 온전히 풍기는 촬영장을 헌팅 하는 게 영화의 존폐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지 감독은 한국에서 웨스턴 영화를 촬영한다면 제주도나 강원도가 적합하겠다는 생각을 했었고, 영화에 가장 적합한 풍경을 찾아 헌팅을 하던 제작진의 발길이 닿은 곳이 강원도였다. 실제 존재하는 ‘철암’이란 지역을 발견한 것도 이때다. 태백, 영월, 정선 등을 돌아다니며 석탄산, 동굴, 폐 공장 등등 영화의 주요 로케이션 장소가 정해졌다.

하지만 영화의 제목인 ‘철암계곡의 혈투’처럼 복수의 마무리를 지을 라스트신을 촬영할 로케이션은 쉽게 정해지지 않았다. 쉴 새 없이 발품을 판 우여곡절 끝에 영화의 대미를 장식할 태백의 폐 광산을 발견했다. 그간의 노고를 보상해주듯 관계기관의 협조 속에 무사히 촬영이 진행됐으며, 다행히 최후의 결투를 스펙터클하게 스크린으로 옮겨 올 수 있었다.

이렇듯 강원도 웨스턴이라 불리는 ‘철암계곡의 혈투’를 완벽한 한국형 서부영화로 완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주인공들의 의상과 캐릭터에 맞는 액션과 특수효과와 분장, 짜임새 있는 시나리오와 탄탄한 연출력이 완벽한 로케이션 안에서 빛을 발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극악무도한 악당들에게 일가족을 잃은 한 남자의 처절한 복수의 여정을 그린 한국형 잔혹서부극 ‘철암계곡의 혈투’는 액션 자체의 쾌감은 물론 잔인한 장면에서조차 슬픔과 연민이 묻어나는 등 고전 서부영화의 정서를 오롯이 담아내며 특유의 센티멘털함을 전한다.

100% 토종 강원도 웨스턴 ‘철암계곡의 혈투’는 오는 12일 개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매크로 이슈 속 널뛰기하는 비트코인, 6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 거듭 [Bit코인]
  • 엑소 첸백시 측 긴급 기자회견 "SM엔터 부당한 처사 고발"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581,000
    • -0.41%
    • 이더리움
    • 5,158,000
    • -0.79%
    • 비트코인 캐시
    • 659,000
    • -0.75%
    • 리플
    • 704
    • +1%
    • 솔라나
    • 225,900
    • -0.75%
    • 에이다
    • 621
    • +0.16%
    • 이오스
    • 995
    • -0.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1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900
    • -3.05%
    • 체인링크
    • 22,450
    • -0.58%
    • 샌드박스
    • 588
    • +0.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