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SW 인재육성 특성화 대학·대학원 신설

입력 2012-04-2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식경제부는 24일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소프트웨어(SW)인재 육성과 정규 교육과정 강화를 위해 ‘SW 특성화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공생발전형 SW생태계 구축전략’의 후속 조치로 올해 SW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총 35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지난해 2월 실시한 SW인력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SW기업의 대학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주 사유는 실무와 대학교육의 거리감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관련해 올 2월 정부는 작년부터 2015년까지 석·박사급 SW고급인력은 1만1990명의 공급 부족현상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W 특성화 대학은 SW 기초실력 및 SW재능과 열의를 가진 학생을 선발, 3~4학년 동안 고강도의 SW전공과정을 통해 글로벌 리더급 SW엔지니어를 육성해야 한다. 또 국내 SW기업 및 해외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전공과정은 최소 80학점을 개설(현재는 통상 60학점 수준)하는 한편 합격/불합격(Pass/Fail)제를 도입하는 등 필수 SW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SW 특성화 대학원은 SW전공과정에 SW공학 및 기술경영을 접목하고 해외 우수대학과 World Class급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SW설계능력 및 경영마인드를 보유한 SW아키텍트급 인재를 육성하는 과정이다.

대학원은 총 45학점 이상(현재는 통상 24학점 수준) 산학공동 교과목 신규개발 후 팀티칭 및 문제 중심 학습 등 프로젝트 중심의 특성화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SW특성화 대학 및 대학원 과정 개설을 희망하는 국내 4년제 대학 및 대학원은 해외대학 및 국내외 SW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청할 수 있다. 사업 대상 학교로 선정되면 인프라 구축 및 교과과정 구성 등의 준비과정을 거쳐 2013년 3월부터 SW특성화 대학(원)을 본격 운영하게 된다.

사업신청 접수는 다음달 29일부터 6월 8일까지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nipa.kr)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SW특성화 대학(원) 개설 및 성공사례 확산을 통해 정규 SW 교육과정 강화 뿐 아니라 산업맞춤형 고급인재 배출을 통한 국내 SW산업의 고도화 및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0: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77,000
    • -1.65%
    • 이더리움
    • 4,914,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12,500
    • -4.3%
    • 리플
    • 677
    • -1.74%
    • 솔라나
    • 208,700
    • -4.22%
    • 에이다
    • 596
    • -3.4%
    • 이오스
    • 951
    • -3.84%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400
    • -4.67%
    • 체인링크
    • 21,600
    • -3.53%
    • 샌드박스
    • 552
    • -4.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