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3色’ 라인업으로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 대반격

입력 2011-10-17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옵티머스 Q2, 옵티머스 EX, 옵티머스 LTE’ 공개

LG전자가 개성있는 색깔을 입힌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연이어 출시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하반기 대반격을 예고하고 있다.

17일 LG전자에 따르면 신제품 ‘옵티머스 Q2, 옵티머스 EX, 옵티머스 LTE’는 최강스펙은 기본, 쿼티, 성능&스타일, H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차별화된 기능을 탑재해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옵티머스 Q2
먼저 지난달 말부터 LG유플러스를 통해 선보인 고성능 쿼티 스마트폰 옵티머스 Q2는 쿼티 스마트폰에 대한 편의성에 대한 호응이 확산되면서 늘어나는 소비자 요구를 적극 반영한 제품이다.

기존 쿼티폰의 단점을 보완하고 듀얼코어, 풀터치 스크린에 쿼티 자판을 결합하고도 두께 12.3mm, 무게 147g로 얇고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1.2기가헤르츠(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밝은 700니트(nit, 휘도단위)의 IPS 디스플레이, 진저브레드 운영체제 등을 탑재해 고성능을 구현한다.

옵티머스 EX는 올 초 세계최초 듀얼코어 탑재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은 옵티머스 2X의 계보를 잇는 후속작으로 지난달 26일부터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됐으며 KT를 통해서도 판매 예정이다.

▲옵티머스EX
수퍼칩이라 불리는 엔비디아(Nvidia)社의 1.2GHz 듀얼코어에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 운영체제,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밝은 700니트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금속 느낌을 더한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했다.

또 고성능을 기반으로 풀 HD 영상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로 끊김없이 즐길 수 있게 했고 블루투스 대비 최대 22배 빠른 전송속도를 구현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HDMI, DLNA를 통해 TV를 비롯한 주변 기기들과 콘텐츠 공유가 간편하다.

LG전자의 LTE기술이 집약된 옵티머스 LTE는 국내 최초로 HD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에 적용했으며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런칭 쇼케이스를 통해 대대적으로 일반에 공개됐다.

1.5GHz 듀얼코어에 자연의 색에 가장 가까운 최고의 색재현율과 화질을 자랑하는 4.5인치 IPS-True H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생생한 HD 영상통화, 고화질 콘텐츠 등을 마음껏 즐길 수 있게 했다.

특히 최근 포브스 및 외신에 의해 LG전자가 LTE 특허부문에서 세계 1위란 사실이 밝혀지면서 글로벌 LTE 기술경쟁력이 입증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01,000
    • +0.62%
    • 이더리움
    • 5,206,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31%
    • 리플
    • 724
    • -1.09%
    • 솔라나
    • 231,600
    • -0.47%
    • 에이다
    • 622
    • -2.35%
    • 이오스
    • 1,115
    • -1.24%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00
    • -0.64%
    • 체인링크
    • 25,160
    • -3.16%
    • 샌드박스
    • 607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