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초 4~5개 부처 소폭 개각…환경부 등 유력

입력 2011-04-14 16:42 수정 2011-04-14 16: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명박 대통령이 다음달 초 경제 부처 위주로 소폭의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14일 전해졌다.

개각 시기는 4.27 재보선 이후 1~2주 내에 단행하는 방안이, 개각 폭은 구제역 사태에 책임이 있는 부처 장관과 재임 기간이 긴 `장수 장관' 위주로 4~5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4.27 재보선 이후에 적어도 4명 이상의 장관을 교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체 대상으로는 구제역 사태로 이미 사의를 표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 장관과 공동 책임이 있는 이만의 환경 장관이 유력하고, 신공항 백지화 논란의 책임론이 불거진 정종환 국토해양 장관과 재임기간이 오래된 윤증현 기획재정 장관도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교체가 유력한 농식품, 환경 장관에다 국토해양, 기재부 장관까지 바꿀 경우 민생 경제를 다룰 새로운 진용을 짠 `민생 개각'으로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들 4개 부처 장관의 교체 가능성을 염두에 둔 인사 검증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정문 오역 논란에 책임이 있고 피로감을 호소해 온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현인택 통일 장관의 경우 교체 여부에 대한 전망이 엇갈린다.

김 본부장의 경우 통상 업무의 권위자인데다 미국,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의 연속성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이 교체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현 장관 역시 오래 재임하긴 했지만 통일 장관의 교체는 북한과 한반도 관련국에 대북 정책 기조를 전환하는 게 아니냐는 신호로 읽힐 수 있다는 점에서 계속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농식품 장관 후임으로는 정치인의 경우 친박계 이계진, 친이계 홍문표 전 의원이, 관료 중에서는 류성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이 하마평에 오른다.

환경부 장관 후보에는 박승환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박석순 이화여대 교수,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 등이, 국토부 장관 후임으로는 최재덕 대한주택공사 사장, 김건호 수자원공사 사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기재부 장관이 바뀔 경우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과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윤진식 의원, 박병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후임을 맡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통일 장관이 교체된다면 류우익 주(駐)중국대사,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 등이 후보감으로 꼽힌다.

개각에 앞서 4강 대사를 중심으로 한 외교안보 라인의 정비도 예상되고 있다.

청와대는 외교라인의 경우 시기적으로 4.27 재보선 이전이라도 인사를 단행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출마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권철현 주일본 대사의 후임으로는 박준우 전 유럽연합 대사와 신각수 전 외교부 1차관이 거론되고 있고, 보직 이동설이 계속 나오는 류우익 주중 대사의 후임으로는 북핵 전문가인 김숙 전 국정원 1차장의 기용이 검토되고 있다.

다만 이윤호 주러시아 대사는 부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한덕수 주미국 대사도 한미 FTA 마무리를 위해 더 재임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지 않다.

논란이 있었던 합동참모본부 1차장(대장급)과 2차장(중장급) 직제 신설은 그대로 진행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재보선 결과가 여권에 좋지않게 나올 경우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져 조기 전당대회가 열리면서 청와대 참모진 개편으로까지 이어지는 대대적인 여권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오는 8월 김준규 검찰총장의 임기가 만료될 무렵 검찰총장 후임과 법무장관, 청와대 민정수석이 함께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59,000
    • -0.48%
    • 이더리움
    • 5,218,000
    • -1.73%
    • 비트코인 캐시
    • 653,000
    • +0.69%
    • 리플
    • 723
    • +0%
    • 솔라나
    • 229,200
    • -0.52%
    • 에이다
    • 632
    • +0%
    • 이오스
    • 1,099
    • -3.85%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5
    • -2.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350
    • -1.17%
    • 체인링크
    • 24,410
    • -2.75%
    • 샌드박스
    • 622
    • -3.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