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권주자 ‘3人 3色’

입력 2011-02-15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선전략으로 자신만의 색깔 잘 드러내고 있어”

여야 차기 주자들이 각자 제 색깔을 내며 사실상의 대선행보에 돌입했다. 아직 대선이 2년여 남았지만 정국을 주도적으로 이끌 자신만의 독립변수 구축엔 그리 많지 않은 시간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 박근혜 ‘복지’·이재오 ‘개헌’·정몽준 ‘차별화’ = 출발점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는 박 전 대표는 지난해 말 국가미래연구원을 발족하며 사실상의 대선행보를 시작했다. 동시에 그는 이른바 ‘박근혜식 복지’라 불리는 한국형 복지정책 개발에 힘을 쏟으며 어젠다 선점에 나섰다. 지난 11일엔 밑그림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보장기본법 전부개정안을 발의했고, 구체적 내용을 담은 세부법안들도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상복지가 선거쟁점으로 떠오른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알 수 있듯 한국정치지형에서 그간 복지는 진보진영의 전유물임을 감안할 때 그가 던진 승부수는 의미심장하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친이계의 좌장인 이재오 특임장관은 개헌을 통한 판 흔들기로 맞서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까지 얻어낸 이 장관은 친이계를 결집, 의원총회로까지 논의 테이블을 옮겼음에도 ‘박근혜’라는 벽에 부딪혀 더 이상의 진전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장관은 10일 “개헌을 위해 가장 강력한 상대와 맞서겠다. 나는 다윗이고 나의 상대는 골리앗”이라며 항전 의지를 불태웠고, 박 전 대표가 사회보장기본법을 발의한 11일엔 “2년 전부터 대통령에 나온다든지, 대통령이 다 된 것처럼 일하는 건 국민들을 많이 피곤하게 한다”며 강한 견제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최근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는 14일 “정치인들은 미래를 얘기해야 한다”며 자신만의 차별화에 나섰다. 그는 특히 “미래나 비전에 대해 이야기할 능력이 떨어지면서 다들 복지에 뛰어드는 것은 우려된다”며 박 전 대표 비판대열에 가세했다. 정 전 대표는 이어 “복지병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선진국들도 많이 무너지고 있고,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우리가 이런 것을 보고도 배우지 않는다면 너무 어리석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정 전 대표는 개헌 논의 관련해서도 “다음 선거의 유력한 후보 진영이 ‘반대하면 안 될 것을 알면서 왜 하느냐’고 하는데, 개헌의 내용이나 시기에 대해 미리 결론 내고 (논의)한다면 정략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개헌 논의를 해야 할 것”이라며 논의에 소극적인 박 전 대표를 비판했다.

이외에도 오세훈 서울시장은 민주당의 무상복지에 맞서며 보수 색채를 강화, 전통적 한나라당 지지층의 지지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하고 있고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수도권규제완화, 행정구역개편, 세종시, 무상복지, 개헌 등 정치권 주요 의제에 깊숙이 개입하며 ‘할 말 하는 김문수’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 손학규 ‘적임자’·정동영 ‘선명성’·정세균 ‘야권통합’ = 지난 10.3 전당대회를 통해 화려하게 부활한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정권교체의 적임자임을 내세우며 진보 지지층의 세 결집에 나서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참패한 정동영 최고위원이나 당대표라는 프리미엄에도 불구하고 낮은 지지율에 허덕이는 정세균 최고위원을 겨냥한 포석으로 보인다. 그러나 손 대표 역시 박근혜 대항마로는 역부족이라는 인식 역시 공고해 지지율 정체라는 한계를 얼마나 빨리 뛰어넘느냐는 과제에 놓여있다. 동시에 당내 착근의 속도를 높이고, 중도층으로의 외연 확대도 이뤄내야 할 과제 목록이다. 이에 대해 손 대표 측 관계자는 14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지도에 급할 건 없다. 결국 1:1 싸움이 되면 자연스럽게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며 “집토끼를 확고히 하는 게 현재로선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다가오는 4.27재보선 성적표도 그의 리더십을 평가하는 단초가 될 것이란 게 일반적 관측이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부유세 도입 주장에서 알 수 있듯 선명성을 부각하며 전통적 지지층 끌어안기에 나서고 있다. 당내 비주류의 최전선에 서 있는 그는 민주당의 복지정책을 주도하며 박근혜식 복지와의 차별화도 꾀하고 있다. 동교동계와의 관계 복원에도 역점을 두며 포스트 DJ(호남의 대표주자)를 꿈꾼다. 그러나 지난 대선 참패 이후 탈당과 무소속 출마 강행 등 일련의 정치행보가 대선주자급이 아니라는 비판과 친노 진영과의 갈등 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보인다. 한 친노 인사는 “언제부터 정 최고위원이 선명성 있는 인물이었느냐. 열린우리당 시절 실용 논쟁으로 당을 망친 장본인 아니었느냐”며 노골적 비판을 숨기지 않았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지난 10일 자신의 대선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할 국민시대 준비위를 발족시키며 야권 주자들 중 가장 먼저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친노 및 486의 지지를 바탕으로 외연 확대에 나선 그가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야권 통합이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야권연대를 통해 민주당에 승리를 가져온 전력을 차기 총선과 대선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유일한 통로라는 얘기다. 그러나 여전히 바닥을 헤매는 지지도는 당대표 시절과 다름없이 그를 괴롭히는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의 밖엔 ‘유시민’이라는 강력한 대안이 자리 잡고 있다. 국민참여당의 차기 당대표로 올라설 그는 지난 12일 “내 이름으로 정권 교체를 이뤄내고 싶다”며 대권 의지를 숨기지 않았다. 그는 또 민주당이 야심차게 내놓은 무상복지 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중도층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확고한 지지층만큼 비토층 또한 뚜렷한 그이기에 대권에 다가서기 위해선 중도층의 마음을 움직일 합리적 대안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차기 주자들마다 자신의 이미지와 부합하는 특장점을 대중에 어필하고 부각시킴으로써 타 후보들과의 차별성 강화, 지지층 확보, 외연 확대라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며 “대선 전략으로 각자가 자신의 색깔을 잘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83,000
    • +0.24%
    • 이더리움
    • 5,204,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0.23%
    • 리플
    • 699
    • -0.43%
    • 솔라나
    • 224,000
    • -2.14%
    • 에이다
    • 619
    • -1.12%
    • 이오스
    • 993
    • -2.65%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650
    • -2.51%
    • 체인링크
    • 22,530
    • -1.49%
    • 샌드박스
    • 581
    • -4.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