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저금리 시대 막내리나

입력 2011-01-26 09:44 수정 2011-01-26 11: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흥국 금리인상 봇물...물가잡기 총력ㆍ美 연준, 연내 긴축 전환할 수도...유럽도 동참할 듯

세계적으로 확산된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릴 전망이다.

신흥국은 선진국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따른 자본 유입 증가와 식료가격 급등으로 인플레 압력이 고조되면서 고삐를 죄고 있다.

성장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지만 금리인상이 회복 기조에 오른 경기를 다시 위축시킬 수도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지난 11월 2차 양적완화 도입을 결정한 미국은 26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완화 기조는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10%에 육박하며 고공행진을 계속하는 미국의 실업률이 조만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 역시 올해 긴축 기조로 전환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지난 19일 기준금리를 11.25%로 0.5%포인트 올렸다.

작년 물가 상승률이 5.9%로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영향이다. 리우데자네이루를 강타한 폭우로 농산물 가격이 뛴 것도 금리인상을 재촉했다.

인도도 25일 작년 봄 이후 7번째 금리인상을 결정했다. 인도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6.50%로 0.25%포인트 올렸다. 인도의 금리인상은 작년 11월 이후 불과 2개월만이다.

중국은 12월말 기준금리인 대출금리를 5.81%로 0.25%포인트 올렸고, 태국은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2.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국은 13일 기준금리를 2.75%로, 금융 위기 이후 3번째 인상을 단행했다. 폴란드도 3.75%로 0.25%포인트 올렸다.

금리인상의 주요인은 물가 상승. 식료 가격이 실물경제를 위협한다는 판단에 따라 성장에서 안정으로 통화 정책의 방향을 튼 것이다.

각국 사정에 따라 금융 위기 당시 인하한 기준금리를 정상화하려는 한편, 인플레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문제는 금리인상이 모기지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늘려 개인 소비나 기업 설비투자를 둔화시킬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작년에 대부분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선 각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크다는 지적이다.

각국의 금리인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2월초까지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되는 등 앞으로도 신흥국의 긴축이 예상된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7% 오른 영국 등 유럽 주요국은 물론 미국 역시 금리인상 행렬에 동참할 것이라는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연준 이사를 지낸 로렌스 마이어 매크로 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 부회장은 “올해 중반까지 경기 회복세가 강해져 매파들이 일제히 긴축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의 데이비드 그린로 수석 채권 이코노미스트 역시 연준의 금리인상 움직임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금리인상 전망에 따라 2년만기 국채 금리가 올 연말까지 1.25%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21일의 0.609%에서 2배 이상 오른다는 것이다.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매파 인사들은 실업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지만 경기 회복세가 강해지고 있음에도 단기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연준 내부에서 매파에 속하는 제프리 래커 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는 지난 14일 “금리인상 문제는 향후 적극 논의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최대 4%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71,000
    • +0.3%
    • 이더리움
    • 5,218,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0.15%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1,000
    • -2.57%
    • 에이다
    • 625
    • -1.88%
    • 이오스
    • 1,111
    • -1.42%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50
    • -0.92%
    • 체인링크
    • 25,720
    • +1.34%
    • 샌드박스
    • 608
    • -3.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