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매체, ‘E3 2010’ 출품 넥슨 게임 '호평'

입력 2010-06-23 1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웅전의 그래픽과 액션 플레이 '이목 집중'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린 게임 박람회 ‘E3(Electronic Entertainment Expo) 2010’에 출품한 넥슨의 게임들이 현지 매체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넥슨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열린 ‘E3 2010’ 게임 박람회에서 ‘마비노기 영웅전(현지 서비스명 ‘빈딕터스: Vindictus)’ ‘던전앤파이터’, ‘드래곤네스트’ 등 3종의 액션 게임을 출품했으며 전체 행사 관람객 4만5000명 중 최소 1만 명의 관람객이 넥슨 부스를 찾을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고 23일 밝혔다.

현지 언론은 넥슨 아메리카가 선보인 무료 온라인 게임들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이들이 무료게임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트리며 북미 게임 시장의 주류인 비디오 게임들과 견줘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특히 물리엔진을 활용해 실감나는 그래픽과 액션 플레이를 구현한 마비노기 영웅전은 무료 게임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미국 게임 전문 웹진인 Gaming Evolution은 출품작들에 관한 기사를 통해 넥슨 아메리카가 PC게임의 새로운 왕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했고 이 밖에 Game Spot , IGN , Game Informer 등 다양한 유력 현지 게임 전문 매체들이 넥슨의 E3 출품작에 대한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넥슨은 E3 2010 개막 첫날인 15일 밤 LA의 클럽 콜로니(Colony)에서 파티를 주최해 1000여 명이 넘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등 게임 업계 관계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기도 했다.

참석자 중에는 블리자드의 마이크 모하임과 수석 크리에이터인 롭 파르도 등 유명 게임 개발자들도 포함돼 눈길을 끌었고 이 외에도 소니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마이크로 소프트, 펀컴 등 유명 게임 업체의 임원진들이 참석했다.

넥슨 아메리카의 다니엘 김 대표는 “첫 출품에도 불구하고 이번 E3 2010 넥슨 부스에 보여 준 현지의 뜨거운 관심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모색할 수 있었다. 넥슨의 게임들이 현지 언론과 유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게 돼 기쁘며 지금의 상승세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02,000
    • -0.5%
    • 이더리움
    • 5,285,000
    • +1.52%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85%
    • 리플
    • 727
    • +0.41%
    • 솔라나
    • 233,400
    • +0.34%
    • 에이다
    • 627
    • +0.32%
    • 이오스
    • 1,124
    • -0.44%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00
    • -0.92%
    • 체인링크
    • 25,870
    • +3.9%
    • 샌드박스
    • 606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