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SKT, 해킹으로 유심정보 2695만 건 유출...사실상 전 가입자

입력 2025-05-19 11: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신규 가입 업무 중단 안내문을 살펴보고 있다. SK텔레콤은 5일부터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로 유심 교체를 원하는 기존 가입자부터 우선적으로 교체하기 위해 전국 T월드 매장과 온라인에서 신규 가입 업무를 중단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6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신규 가입 업무 중단 안내문을 살펴보고 있다. SK텔레콤은 5일부터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로 유심 교체를 원하는 기존 가입자부터 우선적으로 교체하기 위해 전국 T월드 매장과 온라인에서 신규 가입 업무를 중단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최근 해킹 사고로 SK텔레콤에서 유출된 유심 정보의 규모가 총 9.82GB 분량, 가입자 식별키(IMSI) 기준 2695만7749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SK텔레콤의 가입자와 알뜰폰 이용자를 합친 전체 고객 2500만 명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SK텔레콤 침해 사고를 조사 중인 민관합동조사단은 19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SKT 침해 사고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이 SKT의 리눅스 서버 약 3만 대를 4차례 점검한 결과, 현재까지 총 23대의 서버에서 25종의 악성 코드가 포착됐다. 특히 악성 코드는 이전에 발표된 8종 외 BPF도어 계열 12종과 웹셸 1종이 추가로 확인됐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조사단은 지난 1차 조사 결과에서 발표한 유출된 유심정보의 규모가 9.82GB이며, 가입자 식별키 임시기준으로 약 2696만 건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동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은 "저희가 2690만 건으로 말씀드린 부분은 임시 정보가 들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커가 추출해서 가지고 간 규모 전체를 말씀드리는 것이다. 그 규모 안에는 실제 유효하지 않은 번호가 있을 수 있다"라며 "테스트폰이라든지 SKT에서 이용하는 여러 가지 임시값들이 들어 있기 때문에 그 유효성에 대한 부분은 추후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라든지 이런 쪽에서 명확하게 이게 진짜 정말 순수 가입자 고객이 맞는지를 식별하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본부장은 "유출 규모를 확정해야 되기 때문에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9.8GB가 바깥으로 나갔을 때 그 규모에 대해서 이 콘텐츠가 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었다. 그러다 보니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전체를 저희가 건수로 뽑았기 때문에 그 유효성을 검증하기보다는 전체 나간 건수 거기에 초점을 맞췄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655,000
    • +0.16%
    • 이더리움
    • 3,587,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94,000
    • +1.91%
    • 리플
    • 3,268
    • +4.54%
    • 솔라나
    • 209,600
    • +1.4%
    • 에이다
    • 837
    • +4.76%
    • 트론
    • 392
    • +0.51%
    • 스텔라루멘
    • 387
    • +11.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080
    • +0.35%
    • 체인링크
    • 19,130
    • +3.63%
    • 샌드박스
    • 350
    • +4.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