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힘주는 네이버⋯최수연 대표 직속 ‘테크비즈니스’ 부문 신설

입력 2025-05-15 13: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네이버 CI. (사진=본사DB)
▲네이버 CI. (사진=본사DB)
네이버는 인도, 스페인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헬스케어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테크비즈니스’ 부문을 19일 신설한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부문을 이끌 수장으로는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역임한 최인혁 대표를 내정했다.

테크비즈니스 부문은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네이버가 그간 집중하지 못했던 인도, 스페인 등의 지역에서 기술과 비즈니스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헬스케어 분야에 AI 기술 접목 및 전략적 기술투자 등을 통한 사업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인혁 테크비즈니스부문 대표 내정자는 네이버 창립 초기부터 개발 경영진으로 합류해 개발부터 서비스 운영, 비즈니스, 경영까지 제반 분야에서의 폭넓은 성공 경험과 이해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IT) 기술 기반으로 검색 서비스 강화, 서비스 운영 효율화, 경쟁력있는 광고 상품 개발, 국내외 사업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력 확보 및 신규 사업 영역 발굴 등을 이끌며 회사의 성장 기반을 마련해왔다. 네이버는 새로운 글로벌 시장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공적인 도전을 이어 나가기 위해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최인혁 대표를 영입했다.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 2기를 시작하며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을 중심으로 한 AI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글로벌에서의 새로운 사업 기회 발굴을 중요한 핵심 미션으로 삼고 이를 위한 조직 개편과 체제를 갖춰 나가고 있다.

이런 방향 아래 4월, 네이버아라비아를 중심으로 중동지역 및 아프리카에서 기업과 공공기관 간 거래(B2G) 역량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술과 서비스 등으로 신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사업’부문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개인 간 거래(C2C) 및 북미 스타트업 투자를 통해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전략투자’부문을 신설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새로운 ‘테크비즈니스’ 부문까지 총 3개의 부문을 중심으로 네이버는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뉴욕증시, 이-이 분쟁 격화 속 미국 강경 노선에 하락…나스닥 0.91%↓
  • 李대통령, G7 이틀차 日·印·英 등 6개국과 정상회담 박차
  • 통통한 면발에 ‘완도 다시마’로 시원한 국물...‘우동 본고장’ 日서도 인기
  • 시총 10배 수주잔고 쌓은 세아메카닉스...이성욱 "방산 인수도 고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11: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681,000
    • -1.09%
    • 이더리움
    • 3,501,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658,000
    • +0.77%
    • 리플
    • 3,002
    • -2.53%
    • 솔라나
    • 205,200
    • -1.72%
    • 에이다
    • 849
    • -2.53%
    • 트론
    • 380
    • +0.8%
    • 스텔라루멘
    • 351
    • -2.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70
    • -3.65%
    • 체인링크
    • 18,060
    • -3.22%
    • 샌드박스
    • 357
    • -3.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