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의료원, 오주형 의료원장 취임식 개최

입력 2025-05-15 13: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학·병·연 융합연구와 진료역량 강화로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 제시

▲오주형 신임 경희대학교의료원장이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경희대학교의료)
▲오주형 신임 경희대학교의료원장이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경희대학교의료)

경희대학교의료원은 14일 오후 경희의료원 의생명연구동 제1세미나실에서 제3대 경희대학교의료원장 취임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경희대학교의료원은 경희의료원과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을 통합한 단일 의료원 직제로 제3대 의료원장으로 지난 3월말 오주형 영상의학과 교수를 신임 의료원장에 임명했다. 임기는 2027년 3월까지다.

김진상 경희대학교 총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희의료기관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는 뜻깊은 날이자 미래를 밝혀 줄 전환점”이라며 “오 의료원장의 취임을 계기로 연구중심병원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의료기관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함께 고민하고 협력해나가자”고 말했다.

오 의료원장은 경희의료기관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혁신적 연구·진료 클러스터 구축 △거버넌스 개편을 통한 경영 전문성 강화 △환자 중심 진료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및 의료장비 인프라 개선 등을 제시했다.

오 의료원장은 취임사에서 “경희대학교의료원은 질병 없는 인류사회 구현이라는 설립이념 아래 ‘경희의학’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실천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뤄왔다”며 “코로나 팬데믹, 의정 갈등 등 위기 속에서도 제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 뉴스위크(Newsweek) 병원 평가 및 보건복지부 환자만족도 조사에서 최상위 평가를 받은 것은 모든 교직원의 헌신 덕분”이라고 감사를 전했다.

이어 오 의료원장은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 의료의 본질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경희의학의 실천적 사명감을 되새겨야 봐야 할 시기”라며 “산학협력 네트워크 기반의 혁신적인 연구·진료 클러스터 구축, 중증진료 역량 강화 및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을 통한 경영의 선순환 구조 정착, 외래·병동 등 노후 환경 개선과 첨단 의료장비 인프라 개선을 통한 진료혁신 도모 등을 추진해나가며 미래 선도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만 달러선 무너진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솔라나·도지코인도 동반 하락
  • 이란 의회, 호르무즈해협 봉쇄 의결…유가 급등 우려 커져
  • 서울 '월세살이' 더 늘어나나…전셋값 오르고 전세대출은 DSR 규제 ‘사정권’
  • 美ㆍ이란, 유엔 안보리서 정면 충돌⋯"이란 핵 위협" vs "핵시설 공격, 국제법 위반"
  • SNS 실트 오른 '러브버그', 언제 사라질까?
  • 생중계된 '불꽃야구', 인하대 문교원 씨가 된 사연
  • ‘신약·신기술 보호막 강화’…해외 특허 집중하는 국내 바이오
  • SNS 달군 테슬라 로보택시 체험기…텍사스 오스틴 거리 달린 실제 모습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6.23 12: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596,000
    • -0.87%
    • 이더리움
    • 3,132,000
    • -0.7%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3.32%
    • 리플
    • 2,824
    • -1.74%
    • 솔라나
    • 185,700
    • -1.07%
    • 에이다
    • 764
    • +0.13%
    • 트론
    • 372
    • -2.11%
    • 스텔라루멘
    • 323
    • -1.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60
    • -1.47%
    • 체인링크
    • 16,380
    • -1.33%
    • 샌드박스
    • 327
    • -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