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자산운용은 중국의 대표 인공지능(AI) 빅테크 기업 10개 종목에 투자하는 ‘PLUS 차이나AI테크TOP10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고 13일 밝혔다.
PLUS 차이나AI테크TOP10 ETF는 중국 테크 기업 상위 1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한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 기업 비야디(BYD), 중국판 ‘애플+테슬라’로 불리는 샤오미, 중국 최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인 ‘중국판 아마존’ 알리바바,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 3위 반도체 기업 SMIC, 글로벌 게임 시장 1위 기업이자 중국 디지털 생태계 핵심 기업 텐센트 등을 편입한다.
이 밖에도 게임과 콘텐츠 중심으로 성장하는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 넷이즈, 검색엔진을 기반으로 자율주행·AI 기술에 집중하는 중국 테크 선구자 바이두, 음식 배달·로컬 서비스 중심의 생활 밀착형 슈퍼앱 운영 기업 메이퇀, 글로벌 PC 시장을 선도하는 중국 대표 IT 하드웨어 기업 레노보, B2C 중심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동닷컴 등 종목도 담길 예정이다.
PLUS 차이나AI테크TOP10에는 중국 대표 기술 기업 10곳을 이르는 T10(Terrific10·비야디, 샤오미, 알리바바, SMIC, 텐센트, 징동닷컴, 바이두, 메이퇀, 넷이즈, 지리자동차) 기업 중 9곳과 T7(Titan7) 기업 모두를 담고 있다.
관련 뉴스
고효율·저비용을 내세운 생성형 AI 딥시크 등장으로 재평가 국면을 맞은 중국은 과거 부동산 중심에서 첨단산업 중심으로 국가 성장동력을 탈바꿈하고 있다.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중국제조 2025, 차세대 AI 발전 계획 등 정책을 발표한 중국은 정책펀드를 통해 AI 산업에 9120억 달러(한화 1368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마케팅부문장은 “중국 정부는 AI를 포함한 차세대 기술 분야를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민간 기업 역시 자율주행, 로봇, 반도체, 클라우드 등에서 독자 생태계를 구축해 왔다”며 “특히 약 14억 인구 기반의 내수 시장과 방대한 데이터 활용 능력은 글로벌 어느 국가와도 차별화된 경쟁 요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