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시대 도래...기업 절반 “20% 이하 직원만 접근 가능”

입력 2024-07-11 13: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딜로이트)
(출처=딜로이트)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는 생성형 AI 시대가 도래했지만, 기업의 절반은 여전히 직원 20% 이하에게만 생성형 AI 액세스 권한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미래를 결정해야 하는 순간 - 생성형 AI 바로 알기: State of Generative AI’ 2분기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11일 밝혔다.

리포트에 따르면, 생성형 AI로 가장 가치가 높아질 기술적 역량은 데이터 분석(70%)이며, 인간 중심의 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62%)이 꼽혔다. 비즈니스 리더의 75%는 생성형 AI가 2년 내 기업 인재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생성형 AI 전문가 조직의 73%가 매우 빠른 속도로 기술을 도입하고 있지만, 도입 확대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응답자의 절반가량(46%)이 일부 직원에게만 생성형 AI 액세스 권한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의 대규모 도입과 활용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리포트는 생성형 AI의 대규모 도입과 활용에 있어 신뢰 구축이 핵심임을 강조했다. 생성형 AI 결과물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근로자들이 AI가 자신의 업무를 대체하지 않고 보조 역할만 할 것이라는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생성된 결과가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근로자들이 실제로 AI의 도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프론트엔드에서는 솔루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며, 모든 직원들이 기술에 익숙해져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백엔드에서는 대규모 생성형 AI 도입으로 인력 구조에 미칠 영향을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인재 전략과 프로그램,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응답자의 75%는 생성형 AI에 대응해 2년 내 인재 전략을 변경할 것으로 예상했다.

리포트는 AI 전문성이 높은 조직일수록 혁신과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더 집중하며, AI 특화 조직을 설립하고 중앙 집중식 리소스를 제공해야 성공적인 확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올바른 데이터 관리, 기술 인프라 및 거버넌스를 구축해 고품질의 투입물과 설명 가능한 결과물을 보장하는 것이 신뢰 구축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조명수 한국 딜로이트 그룹 파트너는 “많은 조직들이 생성형 AI를 도입하려 노력하지만, 조직 내 문화적 도전과 인력 관리 전략에 대한 의문 및 신뢰 문제로 어려움이 많다”면서 “이번 리포트를 통해 조직 내 생성형 AI의 효율적 활용 및 정착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또 김밥, 또 계란…반복되는 여름 식중독 사고 [해시태그]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주가가 왜 이래?"…'혁신의 아이콘' 애플, 어쩌다 뒤처졌나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801,000
    • -2.05%
    • 이더리움
    • 4,186,000
    • +0.72%
    • 비트코인 캐시
    • 671,500
    • -3.24%
    • 리플
    • 4,004
    • -2.08%
    • 솔라나
    • 221,400
    • -2.89%
    • 에이다
    • 1,008
    • -1.95%
    • 트론
    • 406
    • -0.98%
    • 스텔라루멘
    • 626
    • -3.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10
    • -0.71%
    • 체인링크
    • 21,470
    • -3.38%
    • 샌드박스
    • 419
    • -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