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스토아, TV 앱 전면 개편 ‘양방향성 강화’

입력 2024-04-29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객 소통 집중…‘데이터 플레이’ AI 커머스 실현

▲SK스토아의 새로운 TV쇼핑 화면 (사진제공=SK스토아)
▲SK스토아의 새로운 TV쇼핑 화면 (사진제공=SK스토아)

SK스토아가 TV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의 양방향성을 강화하며 인공지능(AI) 커머스 실현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SK스토아는 데이터 홈쇼핑 경험 개선을 위해 TV 앱 개편을 단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고객들이 데이터 홈쇼핑의 장점인 양방향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하고 구매까지 원활하게 이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SK스토아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TV 앱 화면 구성 방식에 따라 고객의 채널 체류 시간이 17초 이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객들이 편리한 TV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최적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으로 설계하고자 했다.

먼저 TV앱 메뉴 구조를 간소화했다. 특히 상품 검색, 타임 특가, 편성표 등 고객이 주로 활용하는 기능을 화면 왼쪽에 아이콘 형태로 전진 배치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방송 시청 중에도 편리하게 리모컨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인터랙션 UI도 직관적으로 변경했다. 화면 왼쪽 상품 설명 부분을 리모컨으로 클릭하면 보다 상세한 상품 정보로 이동할 수 있고 상품 구매까지 할 수 있다. 화면 아래쪽에 위치한 메뉴바에서도 실시간 판매 정보는 물론, 상품 옵션별 재고 현황, 누적 주문량 그리고 다음 방송 예고 등 다양한 정보를 생동감 있게 보여준다.

비디오 클라우드 스트리밍(VCS) 기술이 적용된 데이터 매장 역시 매장보기 아이콘을 통해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해 편의성을 높였다.

박정민 SK스토아 대표는 “데이터 홈쇼핑 채널의 장점을 최대로 끌어내기 위해 이번 TV 앱 개편을 선제적으로 단행하게 됐다”며 “데이터 플레이를 통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강화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AI 커머스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046,000
    • -0.15%
    • 이더리움
    • 2,634,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3.87%
    • 리플
    • 3,138
    • -0.38%
    • 솔라나
    • 211,400
    • +0.09%
    • 에이다
    • 1,010
    • +1.92%
    • 이오스
    • 1,046
    • +1.45%
    • 트론
    • 352
    • -0.85%
    • 스텔라루멘
    • 38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00
    • -4.33%
    • 체인링크
    • 20,440
    • -2.43%
    • 샌드박스
    • 407
    • -5.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