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18세 여대생, 생애 첫 복권 잭팟…당첨금 448억 수령

입력 2023-02-05 0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캐나다 복권 1등에 당첨돼 448억을 수령한 18세 대학생 줄리엣 라무르. (출처=온타리오복권협회 홈페이지)
▲캐나다 복권 1등에 당첨돼 448억을 수령한 18세 대학생 줄리엣 라무르. (출처=온타리오복권협회 홈페이지)

캐나다의 18세 여대생이 생애 첫 복권으로 1등에 당첨됐다. 당첨금은 448억이다.

4일(현지시간) 캐나다 매체 토론토선 등 외신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남부 수세인트마리에 사는 줄리엣 라무르(18)는 생애 처음으로 구입한 복권 ‘6/49로또’ 1등에 당첨됐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초 복권을 구입한 라무르는 1등 당첨 후 지난 3일 당첨금을 480만 캐나다달러(한화 약 448억)를 수령했다.

라무르의 당첨이 특별한 이유는 그가 캐나다 복권 역사상 최연소 1등이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만 18세부터 복권 구입이 가능한데, 라무르는 얼마 전 막 18세 생일을 보낸 참이었다.

복권 구매를 권한 것은 할아버지였다. 지난달 초 아이스크림을 사러 상점에 갔다가 어떤 아이스크림을 원하는지 할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었고, 할아버지는 “너도 이제 18세가 됐으니 로또를 사서 자신의 운을 시험해봐라”라고 말했다.

그러나 생애 첫 복권 구입인 만큼 라무르는 모든 과정이 서툴렀다. 복권을 구매하는 법을 몰라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물었고 ‘6/49로또’를 사라는 답을 받았다. 해당 복권은 1번부터 49번까지 숫자 중 6개의 숫자를 맞추는 방식으로 한국의 6/45 로또보다 당첨 확률이 훨씬 낫다.

복권을 구매한 뒤 까맣게 잊고 있었던 라무르는, 지난달 8일 약국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1등 당첨 사실을 확인했다. 자신이 복권을 산 판매점에서 1등이 나왔지만 수령자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소식을 접한 것.

이후 동료는 복권을 확인해 주겠다고 제안했고, 곧 앱에 복권을 스캔했다. 그러자 당첨 벨과 함께 화면에는 ‘거액 당첨자(Big Winner)’라는 문구가 떴다.

생물학을 전공하는 평범한 대학생이었지만 이제는 백만장자가 된 라무라는 “의과대학에 진학해 의사가 되기 위해 당첨금을 쓸 것”이라며 “가족과 함께 세계여행도 하고, 의사로서 지역사회에 보답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밀병기’ 수중핵무기까지 공개한 북한…전력화 가능할까
  • “올해 주택 가격 3.3% 하락 전망”...내년에는?
  • “이렇게 재밌는데” 전 세계 ‘틱톡 금지령’ 확산…왜 틱톡을 싫어할까
  • “니XX 상대할 고데기 찾으러 간다” 학생에 막말한 고교 영양사 논란
  • 남경필 전 경기지사 장남, 또 ‘필로폰 투약’ 혐의로 체포…“가족이 신고”
  • 얼룩말 세로는 왜 대공원을 탈출했을까? 사육사가 공개한 사연 보니…
  • 전두환 손자 전우원 씨 “3시간 폐 멈춰…다시는 마약 안 해”
  • “허니콤보도 오른다” 교촌치킨, 최대 3000원 가격 인상
  • 오늘의 상승종목

  • 03.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6,638,000
    • -0.91%
    • 이더리움
    • 2,315,000
    • -0.9%
    • 비트코인 캐시
    • 166,300
    • -0.18%
    • 리플
    • 604
    • +6.9%
    • 솔라나
    • 27,220
    • -0.98%
    • 에이다
    • 471.7
    • -1.95%
    • 이오스
    • 1,479
    • -5.37%
    • 트론
    • 84.43
    • -0.11%
    • 스텔라루멘
    • 122
    • +2.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670
    • +0.93%
    • 체인링크
    • 9,415
    • -2.44%
    • 샌드박스
    • 831.3
    • -1.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