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피 2356.73p, 상승(▲27.78p, +1.19%)마감. 기관 +5845억, 외국인 -56억, 개인 -5647억

입력 2022-12-22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시장이 홀로 매수세를 유지한 기관 덕분에 장 종반에도 상승세를 유지한 채 정규장을 마쳤다.

2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8포인트(+1.19%) 상승한 2356.73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관이 매수 포지션을 취했으며 외국인과 개인은 동반 매도했다.

기관은 5845억 원을 매수 했으며 외국인은 56억 원을, 개인은 5647억 원을 각각 매도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운수창고(+2.55%)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비금속광물(+1.64%) 화학(+1.45%)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기계(-0.18%) 등은 내림세로 마감했다.

이외에도 운수장비(+1.29%) 유통업(+1.08%) 철강및금속(+1.07%)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했으며, 건설업(-0.15%) 등의 업종은 하락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물류(+2.37%), IT(+2.2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7%), 자동차(+2.14%), 2차전지(+1.93%)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NFC(-0.22%), 방위산업(-0.03%) 관련주 테마는 하락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1.90% 오른 5만9100원을 기록했으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8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NAVER가 2.50% 오른 18만4500원에 마감했으며, 현대모비스(+2.46%), 기아(+2.42%)가 오름세를 보인 반면 LG에너지솔루션(-1.15%), 신한지주(-0.13%)는 하락 마감했다.

그 외에도 초록뱀헬스케어(+15.77%), 유니드비티플러스(+15.44%), 대원화성(+13.48%)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제주은행(-23.47%), 현대두산인프라코어(-10.23%), 코오롱글로벌우(-8.69%) 등은 하락했다. 금비(+29.88%)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658개 종목이 상승했으며 하락 종목은 216개다. 61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영덕서 산불 현장 투입 후 귀가하던 산불감시원 사망
  • 서울대 의대생들 ‘1학기 등록’ 66% 찬성…‘단일대오’ 균열 커지나
  • “탄핵 선고기일 지정해라” 현대차·한국지엠 노조 또 ‘정치파업’
  • 계열·협력·합작사 미 동반 진출…여의도 4배 면적에 ‘미래차 클러스터’ 형성 [베일벗은 HMGMA]
  • “발톱무좀 치료 240만 원”…과잉진료 의심병원 가보니 [8조 원의 행방 中]
  • 트럼프 “4월 2일 상호관세, 모든 국가에 부과…관대해서 놀랄 것”
  • 故 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과의 카톡 메시지 공개…"17살 때 일"
  • 경기 불황에도 국회의원 77% 재산 늘었다 [재산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3.27 14: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839,000
    • -0.24%
    • 이더리움
    • 2,986,000
    • -1.74%
    • 비트코인 캐시
    • 496,700
    • +0.93%
    • 리플
    • 3,479
    • -3.92%
    • 솔라나
    • 204,300
    • -3.13%
    • 에이다
    • 1,085
    • -1.9%
    • 이오스
    • 856
    • +0%
    • 트론
    • 343
    • +1.48%
    • 스텔라루멘
    • 430
    • -2.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600
    • +0.86%
    • 체인링크
    • 22,910
    • -0.39%
    • 샌드박스
    • 462
    • +0.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