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아이오닉 6”…현대차, 전국 전시 행사 개시

입력 2022-07-28 15: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자동차는 더현대 서울 및 제주도 함덕 해수욕장에서 아이오닉6 전시행사를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더현대 서울 및 제주도 함덕 해수욕장에서 아이오닉6 전시행사를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차가 전국 주요 도시에서 아이오닉 6 전시행사를 개최한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6 서울’ 전시를 여의도 더현대 서울 1층 전시장에서 28일부터 다음 달 20일까지 연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6의 혁신적인 스트림라이너 디자인과 무한한 가능성을 깨우는 사용자 중심의 공간 경험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총 4개의 체험형 테마로 전시 공간을 구성했다.

먼저 디자인/사운드 체험공간에서는 디자인 스토리 및 가상현실(VR) 스튜디오 체험, 보스의 프리미엄 사운드 청음이 가능하다. 이 공간은 아이오닉 6의 우수한 성능 등 실제 운전을 통해 느낄 수 있는 특장점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 현대차는 미디어 아트를 활용해 아이오닉 6의 주행 감성을 표현하는 공간, 차량의 기능을 안내받을 수 있는 도슨트 공간, 앰비언트 무드 램프 체험 공간 등을 마련했다.

또한 아이오닉 굿즈 전시 및 이벤트 공간을 운영해 고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오닉 6를 경험 및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현대차는 여의도 더현대 서울 전시를 시작으로 아이오닉 6 판매 개시 시점까지 전국 주요 도시를 찾아 고객들이 직접 차량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먼저 제주도에서는 7월 30일부터 3일간 함덕 해수욕장 중앙 광장에서 현대차의 아이오닉 라인업을 전시한다. 전시 공간은 바다를 배경으로 한 포토존을 구성해 고객들이 아이오닉 6와 제주도의 자연을 배경으로 사진을 남길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는 앞으로 광주, 대전, 대구, 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의 특색 있는 공간에서 지역별 전시를 준비 중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아이오닉 6는 유선형의 스트림라이너 실루엣을 기반으로 달성한 세계 최고 수준의 전비와 현대차 최초로 탑재되는 다양한 기능을 앞세워 전동화 시대의 한 차원 높은 이동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며 “직접 전국의 고객들에게 찾아가는 방식으로 아이오닉 6를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이벤트들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차주 1인당 평균 가계대출 9600만 원 ‘역대 최고’ [빚더미 한국①]
  • 넷플릭스 휩쓴 K콘텐츠 오징어 게임 2억3100만 뷰 시청
  • 치이카와→태닝 키티→라부부…다음 유행할 인형의 정체는?! [솔드아웃]
  • 폭우에 인천 문학-광주 챔피언스필드 경기 우천 취소…후반기 레이스 운영 차질
  • “상용화 다가온 XR 시장”…삼성전자, 하반기 승부수 띄울까
  • 美 하원,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가결…트럼프 책상으로
  • 복날엔 삼계탕,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그래픽 스토리]
  • 광명 아파트 화재, 3명 사망…지상 주차장 스프링클러 없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434,000
    • +0.78%
    • 이더리움
    • 4,989,000
    • +7.36%
    • 비트코인 캐시
    • 717,000
    • +6.38%
    • 리플
    • 4,771
    • +8.31%
    • 솔라나
    • 247,000
    • +4.18%
    • 에이다
    • 1,172
    • +8.02%
    • 트론
    • 454
    • +6.07%
    • 스텔라루멘
    • 658
    • +3.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60
    • +2.89%
    • 체인링크
    • 25,430
    • +9.52%
    • 샌드박스
    • 467
    • +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