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 "데이터 바다 개척하는 AI 대항해 시대"

입력 2021-04-02 13: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동원그룹)
(동원그룹)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이 이광형 KAIST 총장과 2일 오전 KAIST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 정근모콘퍼런스홀에서 ‘AI의 미래를 말한다’는 주제로 대담을 진행했다.

이날 대담은 4차산업혁명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 AI(인공지능) 기술의 현재를 진단하고, 앞으로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김 명예회장은 “과거가 대양을 개척하는 대항해시대였다면, 오늘날은 데이터의 바다를 개척하는 AI의 대항해시대”라며 “가까운 미래에 AI는 인류의 모든 분야에 적용될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과 소통을 통해 융복합 AI 기술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명예회장은 특히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시대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신속한 국제 특허 확보를 통한 속도전이 중요하다”라며 “KAIST가 대한민국 AI 산업의 통합 컨트롤타워로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기술 발전을 이끌어나가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명예회장은 “자원도 없는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성장해온 것은 우수한 인적자원 덕분”이라며 “AI 시대를 맞아 인재 확보가 더욱 중요해진 만큼 KAIST가 AI 인재 양성으로 AI 선진국의 길을 개척해 줄 것을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김 명예회장은 현장에 참석한 교수들에게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윤리의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며 “학생들에게 전문 기술과 학문 외에도 윤리의식을 가르치는 전인교육(全人敎育)을 지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학생들에게는 “인생의 짐이 무거울수록 그것으로 인해 성장할 수 있다”라며 “다양한 도전과 경험을 통해 고생을 해보는 것이 역량을 성장시킬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김 명예회장은 마지막으로 “이제껏 호기심을 갖고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면서 실패도 많이 경험했지만 그러한 경험이 인생의 큰 밑거름이 돼주었다”라며 “최고보다 최초가 더욱 가치 있다는 믿음으로 KAIST의 교수들과 학생들이 합심해서 미지의 AI 분야에 과감하게 도전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김 명예회장은 지난해 12월 국내 인공지능(AI) 분야 인재 육성을 위해 KAIST에 사재 500억 원을 기부하면서 KAIST와 인연을 맺었다. 기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이 AI 분야 주도권을 잡아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AI 분야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김 명예회장의 소신에 따라 이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나는 행복합니다~” 외치지만…야구팬들이 항상 화나있는 이유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682,000
    • -0.74%
    • 이더리움
    • 5,203,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684,000
    • -1.08%
    • 리플
    • 704
    • -2.76%
    • 솔라나
    • 229,200
    • -3.25%
    • 에이다
    • 635
    • +0%
    • 이오스
    • 1,022
    • -6.32%
    • 트론
    • 160
    • +0%
    • 스텔라루멘
    • 142
    • -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600
    • -5.17%
    • 체인링크
    • 23,050
    • -4.75%
    • 샌드박스
    • 616
    • -5.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