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삼성 전망…애플 2위 탈환”

입력 2020-09-06 14: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A 예측치 발표…삼성전자 점유율 전망치 21%로 1위

▲'갤럭시 Z 폴드2' 라이프스타일 이미지 (사진제공=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2' 라이프스타일 이미지 (사진제공=삼성전자)

올해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작년보다 11%가량 축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올해 상반기 중국시장 영향으로 화웨이에 1위를 뺏겼던 삼성전자가 다시 고지를 탈환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6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12억6000만 대로 작년보다 11%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SA는 애초 올해 시장 규모가 11억9000만 대로 작년보다 15.6%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상반기 미국, 유럽, 인도 등 주요 시장 판매량이 선방했다며 전망치를 소폭 올렸다.

재택근무로 모바일 기기 필요성이 늘어났고, 제조사와 통신사가 상황 대응을 위해 중저가 제품군을 넓힌 것이 영향을 끼쳤다고 SA는 분석했다. 또 각국이 소비 진작을 위한 지원금을 배포한 것도 스마트폰 수요를 일정 부분 뒷받침했다.

점유율 면에서는 삼성전자가 2억6500만 대를 출하해 21.0%로 1위, 애플이 1억9200만 대(15.3%)로 2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애플을 추월해 2위에 올랐던 화웨이는 1억9000만 대(15.1%)로 3위로 밀릴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보다 삼성전자 점유율은 0.1%포인트, 애플 점유율은 1.3%포인트 오르지만, 화웨이는 미국 제재가 지속함에 따라 1.9%포인트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SA는 특히 화웨이가 비축한 칩세트를 다 사용할 때쯤인 2021년에는 점유율이 4.3% 수준으로 폭락할 것으로 봤다. 대신 샤오미, 오포, 비보 등 다른 중국 업체 점유율이 크게 올라 모두 10% 안팎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A는 "중국 시장에서는 자국 브랜드가 중저가와 하이엔드 모델을, 애플과 삼성전자가 화웨이 플래그십 모델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해외에서는 샤오미, 오포, 비보,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모두 수혜를 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SA는 내년에는 경제 회복과 5G·폴더블 같은 신기술에 힘입어 스마트폰 시장이 9%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작년 시장 규모인 14억 대 수준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3년가량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9,108,000
    • +0.42%
    • 이더리움
    • 5,325,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691,000
    • +3.52%
    • 리플
    • 731
    • +0%
    • 솔라나
    • 240,400
    • +0.08%
    • 에이다
    • 640
    • +0%
    • 이오스
    • 1,106
    • -1.25%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600
    • +0.74%
    • 체인링크
    • 24,220
    • -1.14%
    • 샌드박스
    • 669
    • +2.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