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기술특위, '나노소재융합ㆍ철강재도약' 예타 우대사업 선정

입력 2020-04-19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철강 기술혁신 르네상스 선도사업 구상도 (과기정통부 제공)
▲철강 기술혁신 르네상스 선도사업 구상도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열어 ‘나노ㆍ소재융합 2030사업’,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 총 2개 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 우대 사업으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소부장 기술특위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경쟁력 향상을 위해 관련 사업을 심의, 예비타당성 조사 우대 사업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번에 선정된 ‘나노․소재융합 2030사업’과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정책적 타당성 평가 시 가점(1~9점 사이)을 받게 된다.

김상식 민간위원장은 “나노소재 기술은 소재부품 산업의 핵심기반기술로, 부처 및 민관 간 협업을 통해 산업계 현안을 해결하고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부처 간 함께달리기 사업이라는 측면에서 정책적 목표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철강사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의 경우 자동차, 기계, 건설 등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기반기술"이라며 "강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소재 고특성화·다품종소량 생산 역량을 갖추는데 유효한 전략이라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특위에서는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을 위한 '소재 연구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안)' 안건도 심의·의결했다. 해당 안건은 개방형 연구,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재연구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소재 전 분야에 걸쳐 연구데이터의 수집‧관리‧공유‧활용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응용분야별 데이터 수집·관리 기술, 데이터 기반의 신소재 탐색·설계 기술 등을 개발하고, 데이터과학 기반의 차세대 소재인력을 양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예타 우대 심의는 '소부장 R&D 투자 및 혁신대책' 이후 제도적 준비 과정을 거쳐 처음으로 적용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계속 소부장 R&D 역량 강화를 위해 예타 우대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44,000
    • +0.33%
    • 이더리움
    • 5,197,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666,000
    • -2.06%
    • 리플
    • 697
    • -1.13%
    • 솔라나
    • 223,200
    • -2.75%
    • 에이다
    • 615
    • -3.45%
    • 이오스
    • 990
    • -3.51%
    • 트론
    • 163
    • +2.52%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350
    • -3.76%
    • 체인링크
    • 22,310
    • -3.34%
    • 샌드박스
    • 578
    • -5.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