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는 감염 다시 확산 위험”

입력 2020-04-02 09: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불안전해도 조속히 학업 시작하는 것 옳다고 판단”

▲정세균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것은 감염을 다시 확산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세계적인 확산세가 유례없이 가파르고 해외유입과 집단감염이 계속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분간 등교 개학이 어려워진 가운데,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언제까지 유지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일상복귀를 무한히 미룰 수도 없고, 국민께서 느끼는 피로도가 상당하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고 하면서도 감염 확산의 위험을 경고한 것이다.

그러면서 “빠른 시일 내 의견수렴과 정부 내 논의를 거쳐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지속해 나갈 것인지 국민 여러분께 말씀 드리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총리는 아직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았지만 온라인 개학을 해야하는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온라인 개학 관련 “부족한 점이 많을 것이다. 선생님들이 수업내용을 고민하기에는 시간이 모자라고, 아이들에게 단말기를 지원하기 벅찬 학교도 있을 것”이라며 “개학 이후에도 안정화 단계까지 크고 작은 혼선을 피할 수 없을 가능성이 많다. 학교와 선생님들의 부담이 크고, 학부모님들의 걱정도 이만저만한 것이 아님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불완전하더라도 조속히 학업을 시작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전쟁 중에도 천막교사를 설치하고 학교를 운영한 나라“라며 ”오늘날 대한민국의 믿기지 않는 성장과 번영은 그러한 교육에 대한 열정이 바탕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장은 휴업을 무기한 연장하는 것이 쉬운 길일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아이들의 학습권을 희생시킬 뿐 아니라 어쩌면 우리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일 수도 있다”며 “정부는 최선을 다해 원격수업을 준비하고,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또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고치고 보완하도록 노력하겠다”며 “국민께서도 고심 끝에 내린 결정임을 이해하시고 너른 마음으로 협력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92,000
    • +0.53%
    • 이더리움
    • 5,308,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23%
    • 리플
    • 724
    • -0.69%
    • 솔라나
    • 230,600
    • -1.45%
    • 에이다
    • 630
    • +0.16%
    • 이오스
    • 1,135
    • -0.26%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12%
    • 체인링크
    • 25,580
    • -1.77%
    • 샌드박스
    • 631
    • +3.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