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개인 매수세에 2010선 안착

입력 2020-03-03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코스피가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2010선을 넘어섰다.

3일 코스피 지수는 전 장보다 11.64포인트(0.58%) 오른 2014.15에 마감했다. 지수는 2.26% 오른 2047.82로 출발해 장 중 2050선을 돌파했으나 장 마감 전 2010선에 머물렀다.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지수가 상승했다. 이날 개인은 7111억 원어치를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20억 원, 4493억 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은 7거래일 연속 코스피를 순매도 중이다”며 “외국인은 비둘기(금리 인하에 전향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 스탠스를 확인한 상황에서 한국 확진자 고점 통과 재료 확인 후 귀환할 공산이 크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창고가 4.39% 상승하며 가장 큰 오름폭을 기록했다. 또 섬유의복(1.83%), 증권(1.35%), 비금속광물(1.07%), 의약품(1.04%) 등도 상승 마감했다. 반면 보험(-0.44%), 통신업(-0.40%), 은행(-0.40%), 운수장비(-0.34%)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전일 대비 0.73%(400원) 오른 5만5400원으로 상승 마감했다. SK하이닉스(0.76%), 삼성전자우(1.30%), 삼성바이오로직스(2.68%), LG화학(2.52%), 삼성SDI(1.15%) 등도 올랐다. 반면 네이버와 삼성물산은 가격을 유지했고 현대차(-0.88%), 셀트리온(-1.43%) 등이 하락했다.

한편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13%(0.84포인트) 하락한 626.82를 기록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은 개인이 2619억 원을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09억 원, 372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목록 중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3.05%(2000원) 하락한 6만3600원에 하락 마감했다. 또 에이치엘비(-2.90%), 펄어비스(-0.85%), 케이엠더블유(-1.01), 휴젤(-3.73%), 원익IPS(-2.53%) 등이 하락했다. 반면 CJENM(0.79%), 스튜디오드래곤(0.92%), SK머티리얼즈(0.46%) 등은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97,000
    • +1.84%
    • 이더리움
    • 5,260,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664,500
    • +2.23%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8,900
    • +3.64%
    • 에이다
    • 638
    • +0.79%
    • 이오스
    • 1,116
    • +0.63%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50
    • +2.11%
    • 체인링크
    • 24,480
    • -0.16%
    • 샌드박스
    • 650
    • +3.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