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뮨메드, 신약 후보 의약품 VSF, “코로나19 확진자 대상 투약 진행 중”

입력 2020-03-03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뮨메드는 서울대병원와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VSF(virus suppressing factor)’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 승인을 받고 투약을 진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

식약처는 앞서 서울대병원이 요청한 이뮨메드의 VSF를 코로나19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지난달 21일 승인했다. 첫 투약일 기준 총 4회(1/3/7/14일차)의 투약을 계획하고 있으며, 투약 후 서울대병원과 식약처 및 이뮨메드 관계자들이 약물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합동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식약처가 사용 승인한 이뮨메드의 치료제는 'HzVSFv13주'이다. 이는 이뮨메드가 개발하는 신약 후보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VSF의 주사제이며 2018년부터 건강한 남성을 시험 대상자로 정맥투여 후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한 임상 1상을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진행했다. 현재는 마무리 단계로 오는 4월 임상 1상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이뮨메드는 현재 개별 환자 대상으로만 투약 가능한 것과 별개로 최대 25인까지 투약 가능한 ‘제공자(이뮨메드) 주도의 치료 목적 사용 승인’을 지난달 4일 신청해 식약처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김윤원 이뮨메드 대표이사는 “'HzVSFv13주'는 식약처의 승인을 받아 코로나19 폐렴 치료를 위해 실제 환자에게 투약이 진행된 첫 번째 의약품”이라며 “아직 코로나19의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중등증 이상 폐렴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자가 많은 종합병원의 협조를 통해 중등증 이상의 코로나19 폐렴 환자에게 조속히 VSF를 무료로 투약함으로써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사망률이 급감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뮨메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포함해 향후 VSF를 △만성 B형간염 △인플루엔자 △일부 난치성 피부질환 등 다양한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만성 B형간염은 지난해 동물실험(우드척) 결과 투약 3개월 만에 50%가 완치돼 글로벌 제약사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회사는 만성 B형간염을 적응증으로 한 임상 2상 시험 신청을 앞두고 있으며, 글로벌 임상으로 호주에서는 백인 남녀 대상의 임상 1상 투약이 곧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SV인베스트먼트는 이뮨메드 지분 9.29%를 보유 중이다. 또한 조이시티 자회사 라구나인베스트먼트는 이뮨메드 지분 3%를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5: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0,000
    • -2.66%
    • 이더리움
    • 4,981,000
    • -3.32%
    • 비트코인 캐시
    • 635,500
    • -2.83%
    • 리플
    • 680
    • -2.16%
    • 솔라나
    • 215,900
    • -3.44%
    • 에이다
    • 605
    • -1.63%
    • 이오스
    • 968
    • -1.73%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850
    • -6.16%
    • 체인링크
    • 21,920
    • -2.1%
    • 샌드박스
    • 565
    • -2.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