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종료 첫주...전국 휘발유 가격 1516.9원 ‘23원 상승’

입력 2019-09-07 11: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유류세 한시적 인하가 끝난 이달 첫째 주 전국 휘발유 가격이 전주대비 평균 23원 상승했다. 서울지역 오름폭이 가장 컸다.

7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9월 첫째 주 주간단위 전국 주유소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23.0원 오른 ℓ당 1516.9원을 기록했다.

휘발유 가격은 8월 둘째 주 한달 만에 하락 전환한 뒤 2주 간 안정세를 보이다가 유류세 인하 종료를 발표한 지난달 22일부터 상승 전환했다.

기름값이 가장 높은 서울에서는 휘발유 가격이 전주 대비 32.1원 오른 ℓ당 1623.4원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보다 106.5원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의 경우 휘발유 가격이 23.0원 상승, ℓ당 1487.6원이었다.

가장 비싼 상표인 SK에너지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23.5원 오른 ℓ당 1531.9원, 최저가 상표인 알뜰주유소는 20.5원 오른 ℓ당 1488.5원을 기록했다.

전주 대비 휘발유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상표는 현대오일뱅크로 24.0원 상승했다.

9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 경유 가격도 전주보다 17.8원 올랐으며 ℓ당 1369.7원을 기록했다.

다만 유류세 환원 직전과 직후 급반등했던 기름값은 주중반부터는 상승폭이 완만해졌다.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지난달 31일 1497원에서 1일 1509원, 2일 1515원으로 뛰었다. 3일은 1519원, 4일 1520원, 5일 1521원, 6일 1522원으로 상승세가 둔화했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유류세 환원 발표 직후부터 일부 주유소가 가격 인상을 선제 반영해 초반에 급등했으나 석유 대리점과 주유소 사업자가 대체적으로 세금 인상분을 시차를 두고 서서히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석유의 기준인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전주보다 1.6달러 떨어진 57.3달러였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국제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 증가, 미중 상호 추가 관세 부과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등 요인도 하락 폭을 제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로나19 '진짜 끝'…내달부터 위기단계 경계→관심 하향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반감기’ 하루 앞둔 비트코인, 6만3000달러 ‘껑충’…나스닥과는 디커플링 [Bit코인]
  •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또 천만 노리는 ‘범죄도시4’,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단독 두산그룹, 3년 전 팔았던 알짜회사 ‘모트롤’ 재인수 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13: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80,000
    • +0.48%
    • 이더리움
    • 4,398,000
    • -1.32%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1.36%
    • 리플
    • 718
    • -2.18%
    • 솔라나
    • 203,700
    • +2.31%
    • 에이다
    • 656
    • -1.35%
    • 이오스
    • 1,104
    • +1.56%
    • 트론
    • 157
    • -3.68%
    • 스텔라루멘
    • 161
    • +0.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150
    • -1.81%
    • 체인링크
    • 19,740
    • +0.82%
    • 샌드박스
    • 628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