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화력발전소 '갈곳이 없다'

입력 2008-08-06 08: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포구 이전 요구 강경 압박 … 정부는 '대안없다' 난색

서울 한복판에서 40여년간 전기를 공급해 온 서울화력발전소(옛 당인리발전소) 이전 문제를 놓고 지경부와 지역주민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지식경제부와 발전사측은 4·5호기를 가동이 중단된 1·2·3호기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지를 공원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이전을 요구하는 지역주민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올해말 착공 자체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땅한 대안조차 없는 상황이어서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서울화력은 발전설비 4·5호기가 운영중이며 38만7500㎾를 생한하고 있다. 현재 서울 서초·영등포·용산·마포 지역 등 4마9000여 세대에 지역난방 공급과 전력 안정유지를 하고 있다.

6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중부발전, 마포구 등에 따르면 오는 10월 착공에 들어가 2011년 9월 마무리될 예정이었던 '서울 복합화력 1·2호기 증설사업'은 마포구와 인근 주민 등의 반대에 부딪혀 적기 착공 여부가 불확실해졌다.

현재 1930년 11월 처음 상업발전을 시작한 서울화력발전소는 4·5호기만 운영 중에 있으며 이마저도 오는 2012년 전기 생산을 그만둔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지하부지에 발전설비 증설작업을 통해 전력공급을 유지할 방침이다.

그러나 마포구와 지역주민들은 "위험한 시설(화력발전소)을 지하에 두고 지상에서 휴식이나 여가를 즐기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반발했다.

특히 최근 한국경제연구학회에 자체 의뢰한 타당성 연구용역을 통해 "발전소 이전 후 부지를 문화 전용시설로 활용하는 것이 발전사 계획안보다 경제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하면서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수도 서울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라도 복합 문화예술 랜드마크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마포구는 서울화력을 서울시 소유의 난지물재생센터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지경부와 중부발전은 서울화력이 필수 전력공급 시설이라는 종전 입장과 함께 발전소 운용과 전력수급은 정책 결정사항이지 합의에 의해 조정할 사안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지경부 한 고위 관계자는 "전력계통에 대한 분석은 동일한 분석데이터와 분석모형을 통해 이뤄지므로 분석기관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을 수 없다"면서 "전력수급 및 계통운영은 어디까지나 정부 정책 결정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쿄나 뉴욕, 베를린 등 세계 주요 대도시에서도 전력계통 안정과 부하중심지 인근 전력 공급을 위해 도심지내에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며 "서울내에서 대체부지를 찾는 것은 지역 님비현상으로 어렵고 타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도 지역간 갈등을 조장할 수 있어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마포구가 제시한 난지물재생센터의 경우 아직 서울시가 대체부지로 제공할 의사가 없는 상태며, 서울시가 대체부지로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소재지인 경기도 고양시를 설득해야 하는 난관을 넘어야 한다.

◆서울화력 왜 포기 못하나?

지경부가 지역주민들의 기피시설인 서울화력을 지하화해서까지 유지하려는 이유는 서울 북부지역의 전력안정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발전시설의 경우 대부분이 해안가를 중심으로 설치돼 있지만, 전력소비는 대도시 및 공단지역으로 치우쳐 있어 발전원과 소비지역간 전력수송에 불균형이 심하게 발행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화력발전소가 없을 경우 유사시 서울 등 수도권지역 전력공급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것.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전압이 불안정하면 전력운영에 큰 데미지를 입혀 광역정전을 초래할 수 있다"며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은 송전망도 취약한 만큼 소비지역(서울) 인근에 발전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중부발전 관계자는 "서울화력은 전력공급 외에 여의도, 마포 등 5만여 세대와 향후 은평 뉴타운 지역등에 에 난방열을 공급하는 역할까지 맡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발전소는 지하로, 문화 스포츠레저시설은 지상으로 조성할 계획인 만큼 국익과 지역주민이 동시에 이익을 충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마포구의 서울화력발전소 이전 요구를 두고 '님비(NIMBY)'의 하나로 봐야할지, 시대변화에 따른 정당한 문화적 가치요구로 해석해야 할지 의견은 분분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0: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89,000
    • -0.18%
    • 이더리움
    • 4,951,000
    • -1.59%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1.17%
    • 리플
    • 691
    • -0.86%
    • 솔라나
    • 188,100
    • -1.57%
    • 에이다
    • 541
    • -0.73%
    • 이오스
    • 807
    • +0.1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2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00
    • -0.64%
    • 체인링크
    • 20,000
    • -1.33%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