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미분양 방치시 금융 불안 초래 가능성 "

입력 2008-06-10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공회의소가 미분양 주택 급증에 따라 건설업계 연쇄 부실에 이어 금융 불안으로까지 번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등에 제출한 ‘미분양주택 증가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과제’ 건의서에서 미분양 주택 급증으로 시작된 건설업계의 경영난이 하도급 업체의 부실로 이어지고 있는 곧 건설업계에 대출해준 은행권의 부실로 이어진다는 내용의 분석결과를 내놨다.

또 이와 함께 미분양주택에 대한 대출규제 완화, 취·등록세 및 양도세 완화,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기간 연장 등 정책 과제의 조속한 시행을 요청했다.

대한상의는 이를 위해 미분양주택과 신규분양 아파트에 차이를 둬 대출규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도입하는 것을 건의했다. 미분양주택 구입에 대해서는 총부채 상환비율(DTI) 및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10~20%포인트 가량 높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분양주택 구입시 취·등록세를 현행 1%에서 0.5% 수준으로 인하하고, 미분양주택 구입에 따른 1가구2주택 양도소득세 중과면제기간을 현행 1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고 지방의 미분양주택 매입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기간을 현행 3년에서 6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건의문에서 대한상의는 “미분양 주택의 수가 올해 3월말을 기준으로 13만2000호에 달하고 있는데 이는 심각한 수요위축을 보였던 외환위기(98년말 10만3000호)보다도 30% 이상 많은 수준”이라면서 “미분양주택 문제에 대한 개선책을 조속히 시행하지 않을 경우 자칫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금융불안으로 이어질수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금융권의 건설사 대출 기피 현상이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 추진시 자금조달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의 경우, 2006년 1ㆍ4분기에 1조6000원이 넘었던 부동산 PF를 기반으로 하는 유동화(ABS) 발행금액이 올해 1ㆍ4분기에는 760억원으로 급감했다.

건설업체들의 부도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올들어 4월 한달에만 11개 업체가 도산해 전년 같은 기간의 6개보다 배 가량 늘어났으며 1~4월까지 부도업체 숫자도 37개로 전년 동기 대비 48%가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말 금융권이 건설사에 대출한 금액은 102조 5000억원 수준으로 건설업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해당건설사는 물론 하도급업체 등 연관업체의 연쇄부실로 이어져 금융불안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939,000
    • -1.41%
    • 이더리움
    • 4,961,000
    • -2.63%
    • 비트코인 캐시
    • 592,000
    • -2.47%
    • 리플
    • 720
    • +3.9%
    • 솔라나
    • 202,200
    • -3.76%
    • 에이다
    • 573
    • -2.55%
    • 이오스
    • 881
    • -4.96%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850
    • -3.07%
    • 체인링크
    • 20,430
    • -4.17%
    • 샌드박스
    • 487
    • -10.15%
* 24시간 변동률 기준